ncftp로 원격서버로 접속한 후에 로컬서버의 현재 작업디렉토리 내에 파일리스트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4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ncftp로 원격서버로 접속한 후에 로컬서버의 현재 작업디렉토리 내에 파일리스트 확인하기
ncftp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서버로 접속한 후에 로컬서버의 현재 작업디렉토리의 파일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즉, ncftp로 접속한 후에 로컬서버의 현재 위치에 존재하는 파일리스트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간단히 lls라고 하면 됩니다.
원격서버의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ls명령어와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예는 ncftp로 접속한 후에 로컬서버의 현재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리스트를 확인한 것입니다.
ncftp /home/bible > ncftp /home/bible > lls EDU_Sources/ manual.conf pro.tar.gz public_html/ squid.conf ssl.conf ncftp /home/bible > ncftp /home/bible > lls -l total 36 drwxr-xr-x 4 root root 4096 Oct 22 18:41 EDU_Sources -rw-r--r-- 1 root root 295 Oct 17 02:50 manual.conf -rw-r--r-- 1 root root 4520 Oct 15 19:54 pro.tar.gz drwxr-xr-x 3 root root 4096 Oct 22 18:41 public_html -rw-r--r-- 1 root root 332 Oct 17 02:50 squid.conf -rw-r--r-- 1 root root 9534 Oct 17 02:50 ssl.conf ncftp /home/bible > |
위의 lls로 확인한 결과 로컬서버의 현재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lls -l”과 같은 형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lls -lRa”등과 같은 형식으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즉, 일반 쉘상태에서 사용하는 ls사용법과 거의 유사하므로 기억하기는 쉬울 것입니다.
아래 그 예를 보십시오. lls명령어는 보다 자세한 파일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아래의 예는 로컬서버 내의 현재 위치에 존재하는 파일들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l옵션을 사용하여 “lls -l”를 실행한 것입니다.
그 결과 lls보다 좀 더 자세한 파일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cftp /home/bible > lls -l total 36 drwxr-xr-x 4 root root 4096 Oct 22 18:41 EDU_Sources -rw-r--r-- 1 root root 295 Oct 17 02:50 manual.conf -rw-r--r-- 1 root root 4520 Oct 15 19:54 pro.tar.gz drwxr-xr-x 3 root root 4096 Oct 22 18:41 public_html -rw-r--r-- 1 root root 332 Oct 17 02:50 squid.conf -rw-r--r-- 1 root root 9534 Oct 17 02:50 ssl.conf ncftp /home/bible > |
이번에는 좀 더 다양한 옵션을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즉, 아래의 위치는 디렉토리와 파일들이 함께 존재하는 로컬서버의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였습니다.
여기서 “lls -al”과 같이 -al옵션을 사용 하였습니다.
그 결과 현재 존재하는 .(점)으로 시작하는 숨겨진 파일들까지도 함께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ncftp /home/bible > lls -al total 180 drwxr-x--- 16 root root 4096 Oct 22 18:41 . drwxr-xr-x 24 root root 4096 Oct 22 16:38 .. -rw------- 1 root root 1454 Jan 20 2023 .ICEauthority drwx------ 2 root root 4096 Dec 27 2022 .Trash -rw------- 1 root root 14678 Oct 22 03:21 .bash_history -rw-r--r-- 1 root root 18 Oct 29 2022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224 Dec 27 2022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208 Dec 27 2022 .bashrc -rw-r--r-- 1 root root 100 Jul 14 2022 .cshrc -rw------- 1 root root 26 Dec 27 2022 .dmrc drwx------ 4 root root 4096 Jan 20 2023 .gconf drwx------ 2 root root 4096 Jan 20 2023 .gconfd drwxr-xr-x 3 root root 4096 Dec 27 2022 .gnome drwx------ 6 root root 4096 Dec 27 2022 .gnome2 drwx------ 2 root root 4096 Dec 27 2022 .gnome2_private drwxr-xr-x 2 root root 4096 Dec 27 2022 .gstreamer-0.10 -rw-r--r-- 1 root root 81 Dec 27 2022 .gtkrc-1.2-gnome2 -rw------- 1 root root 104 Oct 22 16:48 .lesshst drwx------ 3 root root 4096 Dec 27 2022 .metacity drwxr-xr-x 4 root root 4096 Oct 22 18:41 .mozilla drwxr-xr-x 3 root root 4096 Dec 27 2022 .nautilus drwxr-xr-x 2 root root 4096 Oct 22 18:45 .ncftp drwx------ 2 root root 4096 Dec 27 2022 .scim -rw-r--r-- 1 root root 129 Jul 14 2022 .tcshrc drwxr-xr-x 4 root root 4096 Oct 22 18:41 EDU_Sources -rw-r--r-- 1 root root 295 Oct 17 02:50 manual.conf -rw-r--r-- 1 root root 4520 Oct 15 19:54 pro.tar.gz drwxr-xr-x 3 root root 4096 Oct 22 18:41 public_html -rw-r--r-- 1 root root 332 Oct 17 02:50 squid.conf -rw-r--r-- 1 root root 9534 Oct 17 02:50 ssl.conf ncftp /home/bible > |
그리고 다음은 -alR이라는 옵션을 사용하여 “lls -alR”이라는 명령어를 사용 하였습니다.
그 결과 현재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파일들 뿐 아니라 디렉토리와 그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파일들까지도 모두 함께 보여줍니다.
ncftp /home/bible > lls -alR .: total 180 drwxr-x--- 16 root root 4096 Oct 22 18:41 . drwxr-xr-x 24 root root 4096 Oct 22 16:38 .. -rw------- 1 root root 1454 Jan 20 2023 .ICEauthority drwx------ 2 root root 4096 Dec 27 2022 .Trash -rw------- 1 root root 14678 Oct 22 03:21 .bash_history -rw-r--r-- 1 root root 18 Oct 29 2022 .bash_logout -rw-r--r-- 1 root root 224 Dec 27 2022 .bash_profile -rw-r--r-- 1 root root 208 Dec 27 2022 .bashrc … 이하생략 |
이미 말씀 드린 바와 같이 리눅스 쉘상태에서 사용했던 ls라는 명령어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ncftp접속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 쉘상태에서 사용하는 ls명령어와 ncftp에서 사용하는 ls와 lls명령어를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