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하드웨어관리 플래터(Flatter)와 헤드(Head)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8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하드웨어관리 플래터(Flatter)와 헤드(Head)
플래터란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둥근 원판을 말한다.
하드 디스크라는 이름에서 하드(hard)라는 말이 붙은 이유가 플래터의 재질이 딱딱하기 때문이다.
이 플래터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딱딱하고 잘 휘어지지 않는 둥근원판 형태를 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고 간혹 유리로 된 제품들도 있다.
고장난 하드 디스크의 뚜껑을 열어보면 둥근 모양의 딱딱한 금속제품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플래터이다.
컴퓨터의 전원이 켜졌을 때 하드 디스크가 소리를 내며 회전하는 것은 하드 디스크의 내부에 있는 이 플래터가 회전하는 소리이다.
즉, 전원이 켜지면 플래터는 쉬지 않고 계속해서 회전하면서 헤드에 의해 데이터가 저장되고 읽혀진다.
물론,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헤드의 읽고/쓰는 속도는 빨라진다.
대부분의 하드 디스크 제조업체에서는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다.
즉, 하드 디스크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분당회전속도(RPM)와 데이터를 얼마나 많이 저장할 수 있는가의 집적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헤드(head)란 이 플레터에서 데이터를 읽어내는 장치로서 헤드의 주된 역할은 디스크에 저장 데이터를 읽고/쓰는(read/write) 역할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