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mke2fs실무6편: 배드블록(bad block)을 검사하면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mke2fs실무6: 배드블록(bad block)을 검사하면서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배드블록(Bad Block)은 디스크에 있어서 치명적인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결함요소이다.

 

 

 

또한 디스크는 영구적인 부품이 아니고 일종의 소모품이므로 1~5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필자의 경우 하드디스크는 최대 2년 이상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 자제하고 있다.

 

 

 

물론 이 하드디스크가 서버용으로 사용된다는 가정하에서 2년 정도로 추정한다는 의미이다.

 

 

 

 즉 필자는 서버용으로 사용되고있는 하드디스크의 평균수명이 2년 이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한다.

 

 

 

이런 디스크의 평균수명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들이 있지만 중요한 것은 주기적인 점검을 통하여 배드블록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빠른 시일 내에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배드블록의 자세한 설명과 점검방법에 대해서는 badblocks라는 것에 대하여  하드디스크관리 및 시스템자원관리 실무편에서 설명한 하드디스크 배드블록문제 해결하기부분을 보기 바란다.

 

 

 

따라서 여기서는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때에 -c옵션을 사용하면 디스크의 배드블록을 먼저 점검한 후에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다음 예는 /dev/sdc1에 대한 배드블록을 점검한 후에 ext4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예이다.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4 -c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4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22:07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6be71b19-0f74-4b0a-a66c-a65cea389fc8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Checking for bad blocks (read-only test): ^C2.26% done, 0:14 elapsed. (0/0/0 errors)

 

 

 

 

즉 위의 예와 같이 특정 디스크에서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때에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것은 디스크장애를 사전에 예방하는 현명한 방법이다.

 

 

 

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여 배드블록을 점검하면서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면 당연히 포맷속도는 떨어진다.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로 본다면 이 옵션의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싶다.

 

 

 

물론, 배드블록을 전문으로 점검하는 badblocks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56 명
  • 현재 강좌수 :  35,908 개
  • 현재 접속자 :  216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