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삼바 서버 환경 설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4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삼바 서버 환경 설정
삼바 서버의 환경 설정 파일은 /etc/samba에 smb.conf 파일로 되어 있으며 전역 설정(Global Configuration)과 공유 정의(Share Definitions)로 나눌 수 있다.
① 전역 설정(Global Configuration)
|
|
|
| [global] workgroup = MYGROUP |
|
|
|
|
윈도우에서 작업그룹과 같다.
공유하고자 하는 작업그룹 이름을 작성한다.
|
|
|
| server string = Samba Server Version %v |
|
|
|
|
윈도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삼바 서버가 검색되었을 때 보여주는 삼바 서버에 대한 설명이다.
%v는 버전을 나타낸다.
|
|
|
| load printers = yes |
|
|
|
|
프린터 목록을 자동으로 표시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부분으로 만약 no로 설정 한다면 직접 프린터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
|
|
| host allow = 192.168.0.14 |
|
|
|
|
보안을 위하여 삼바 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를 지정한다.
192.168.0.14의 IP를 가진 클라이언트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하였다.
반대로 특정 IP만 접속을 막으려면 host deny를 지정한다.
|
|
|
| interfaces = lo eth0 192.168.12.2/24 192.168.13.2/24 |
|
|
|
|
IP/netmask 형태로 지정하여 두 개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때 설정한다.
|
|
|
| log file = /var/log/samba/%m.log |
|
|
|
|
로그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
%m은 클라인트의 넷바이오스 이름이다.
|
|
|
| max log size = 50 |
|
|
|
|
로그 파일의 최대 크기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Kbyte 단위로 설정한다.
0으로 설정하면 파일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
|
|
| security = user |
|
|
|
|
클라이언트가 삼바 서버에 접근할 때의 보안 레벨을 설정한다.
∙user : 기본 보안 정책으로 삼바 서버에서 생성한 계정으로 인증을 거쳐야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share : 삼바 서버에 인증을 거치지 않고 서버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server : 다른 삼바 서버를 통하여 인증을 하는 방식이다.
∙ads : 윈도우 AD 서버를 통하여 인증을 거치는 방식이다.
|
|
|
| passdb backend = tdbsam |
|
|
|
|
삼바의 패스워드 처리를 위한 방식을 지정한다.
tdbsam과 예전 방식인 smbpasswd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
|
| local master = no |
|
|
|
|
삼바 서버가 nmbd에 의해서 서브넷상에서 로컬 마스터 브라우저가 될 수 있도록 허용할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
|
|
| os level = 33 |
|
|
|
|
삼바 서버가 자신을 알릴 수 있는 레벨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 값에 의해서 로컬 브로드캐스트 지역에서 워크그룹에 대하여 로컬 마스터 브라우저가 될 수 있는지를 결졍한다.
|
|
|
| domain master = yes |
|
|
|
|
삼바가 도메인 마스터 브라우저가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
|
|
| perferred master = yes |
|
|
|
|
삼바가 구동될 시 마스터의 선택을 강요하여 선택에서 우선순위를 얻을 수 있도록 보다 많은 가능성을 부여해 주는 옵션이다.
|
|
|
| domain logons = yes |
|
|
|
|
삼바 서버가 워크그룹에 윈도우 도메인 로그온 역할을 할 것인지 여부를 지정해 주는 옵션이다.
|
|
|
| logon script = %U.bat |
|
|
|
|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로그온을 하였을 경우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는 배치 파일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
|
|
| logon path = \\%L\Profiles\%u |
|
|
|
|
로밍 프로파일(roaming profile)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가를 지정해 주는 옵션이다.
|
|
|
| dns proxy = no |
|
|
|
|
dns 프록시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NetBIOS 이름을 찾아 줄 때 DNS server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지정해 주는 옵션이다.
② 공유 정의(Share Definitions)
|
|
|
| [public_data] comment = Home Directories |
|
|
|
|
공유 디렉토리에 관한 설명을 적는 옵션이다.
|
|
|
| path = /home/public |
|
|
|
|
공유 디렉토리의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
|
|
| writable = yes |
|
|
|
|
공유 디렉토리에 쓰기권한을 부여하는 옵션이다.
|
|
|
| read only = no |
|
|
|
|
공유 디렉토리를 읽기 전용으로 설정하기 위한 옵션이다.
|
|
|
| valid users |
|
|
|
|
공유 디렉토리에 로그인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
|
|
| printable = no |
|
|
|
|
공유 디렉토리에 스풀 파일을 저장할 것인지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
|
|
| browseable = yes |
|
|
|
|
공유 디렉토리의 공유리스트들을 보여 줄 것인가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③ 간단한 삼바 설정의 예
|
|
|
| [global] workgroup = DOCS netbios name = DOCS_SRV security = user printcap name = cups disable spools = Yes printing = cups
[homes] comment = Home Directories valid users = %S read only = No browseable = No
[public] comment = Data path = /export force user = docsbot force group = users guest ok = Yes
[printers] comment = All Printers path = /var/spool/samba create mask = 0600 guest ok = Yes printable = Yes use client driver = Yes browseable = Yes |
|
|
|
|
|
|
|
| 삼바의 변수 • %a : 클라이언트 운영체제 • %d : 현재 서버의 PID • %u : 삼바에 접속한 사용자의 이름 • %U : 삼바에 접근할 때 사용한 사용자의 이름 • %g : %u 이름을 가진 사용자의 그룹 • %G : %U 이름을 가진 사용자의 그룹 • %h : 삼바가 실행되는 호스트 이름 • %H : %U 이름을 가진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 %L : 삼바 서버의 NetBIOS 이름 • %m :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NetBIOS 이름 • %M :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 • %S : 공유 이름 • %p : 공유 루트 디렉토리 • %P : 현재 공유 투트 디렉토리 • %v : 삼바 버전 번호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