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파일리스팅 기술2편: 파일과 디렉토리의 크기순서대로 확인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6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ls파일리스팅 기술2편: 파일과 디렉토리의 크기순서대로 확인하는 방법
ls의 활용예를 보고난 이후에 ls의 기본부터 활용까지 차근차근 보도록 하겠다.
우리 서버관리자들은 종종 서버 내에 존재하는 많은 파일들 중에 제일 큰 파일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파일시스템 사용량이 꽉찼을 때 불필요한 파일들을 빨리 찾아서 삭제해야 할 경우도 있을 것이고,
갑작스러운 서버장애로 인하여 예전의 core파일이 아직 서버내에 남아 있어서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알지못하는 특정데몬의 로그파일 관리(log rotate나 로그파일압축 또는 삭제등의 관리를 의미함)를 하지않아서 긴급하게 삭제해야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또한 메일큐디렉토리(대부분 /var/spool/mqueue/)나 메일스풀디렉토리(대부분 /var/spool/mail/)를 관리하지 못한(대부분 root의 메일저장 파일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음) 결과로 인하여 서버가 다운되거나 안정되지 못하는 경우를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끔씩 불필요하게 생성되어 있는 큰 파일을 찾아서 삭제를 해줘야 한다.
이런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큰 파일을 찾아야 한다.
이런 큰파일을 찾는 방법으로는 find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히 ls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다음은 ls명령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옵션들의 간단한 설명이다.
-R 옵션
지정한 디렉토리이하에 있는 하부디렉토리와 파일들을 모두 포함한다.
(Recursive)
-r 옵션
출력결과를 정열할 때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Descending)
-S 옵션
파일사이즈가 가장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다.
이번 강좌의 주제인 큰 사이즈의 파일을 찾기 위해서 가장 필수적인 옵션이다.
-l 옵션
파일들을 나열할 때에 자세하게 출력한다.
(파일형태, 사용권한, 하드링크 번호, owner 이름, group 이름, 파일크기, 시간등)
-a 옵션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으로 시작하는 파일 들도 포함된다.
-A 옵션
출력결과의 파일들에서 .와 .. 는 제외한다.
-h 옵션
파일사이즈를 용량단위(Megabyte, Gigabyte)를 붙여서 출력해 준다.
그럼 위의 옵션들 몇 개를 동시에 사용한 유용한 예를 한번 보도록 하자.
[root@RockyLinux01 ~]# ls -lhRS /usr/sbin /usr/sbin: 합계 94M -rwxr-xr-x. 1 root root 8.1M 3월 1 02:37 php-fpm -rwxr-xr-x 1 root root 7.3M 4월 22 01:22 squid -rwxr-xr-x 1 root root 3.3M 4월 12 00:18 NetworkManager -rwxr-xr-x 1 root root 2.9M 4월 12 04:25 bpftool -rwxr-xr-x 1 root root 2.9M 10월 30 2022 wpa_supplicant -r-xr-xr-x. 1 root root 2.9M 11월 1 2022 lvm -rwxr-xr-x 1 root root 2.5M 10월 30 2022 eapol_test -rwxr-xr-x 1 root root 2.0M 5월 16 2022 ModemManager -rwxr-xr-x. 1 root root 2.0M 10월 30 2022 dhclient -rwxr-xr-x. 1 root root 2.0M 5월 28 2022 mdevctl -rwxr-xr-x 1 root root 1.7M 5월 20 06:22 grub2-install -rwxr-xr-x. 1 root root 1.5M 11월 1 2022 criu -rwxr-xr-x 1 root root 1.4M 5월 20 06:22 grub2-probe -rwxr-xr-x 1 root root 1.4M 5월 20 06:22 grub2-bios-setup -rwxr-xr-x 1 root root 1.4M 5월 20 06:22 grub2-macbless -rwxr-xr-x. 1 root root 1.3M 5월 16 2022 tcpdump -rwxr-xr-x 1 root root 1.3M 11월 1 2022 nginx -rwxr-xr-x 1 root root 1.2M 1월 24 08:07 ldconfig -rwxr-xr-x. 1 root root 935K 11월 15 2022 sshd |
예로든 위의 명령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현재디렉토리 이하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대상(R)으로 하여 자세한 출력(l)을 하면서 파일크기가 큰 순서대로(S) 결과를 보여준다.
이때에 파일사이즈를 용량단위(KB, MB, GB등)를 붙여서(h) 표시해주도록 한 것이다.
위의 명령어는 간단하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ls의 옵션들외에 위의 예와 같이 몇가지 옵션들만 알고 있다면 파워풀한 ls의 활용으로 서버관리에 좀 더 많은 힘을 얻게 될 것이다.
참고로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을 체크하려면 du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이 책의 앞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은 “du -sk “또는 “du -sh”를 사용하면 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