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사용쉘(로그인쉘)과 현재 사용중인 쉘에 대한 오해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0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기본사용쉘(로그인쉘)과 현재 사용중인 쉘에 대한 오해
이번에는 로그인후에 현재 여러가지 쉘들을 사용해보는 예를 보도록 하겠다.
현재 사용중인 쉘을 확인하려면 "echo $SHELL"이라고 해보면 된다.
즉 쉘환경변수인 "SHELL"에는 현재 사용자가 사용중인 쉘의 종류가 저장되어 있다.
다음은 현재 사용자가 사용중인 쉘종류를 확인한 것이다.
[bible@sulinux ~]$ echo $SHELL /bin/bash [bible@sulinux ~]$ |
현재 bible이라는 사용자는 /bin/bash 즉, /bin/bash(Bash Shell)을 사용 중에 있다.
만약 현재 사용중인 쉘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bible@sulinux
bible]$ echo $SHELL
(현재 사용중인 쉘확인) |
참고로 root사용자는 패스워드 입력없이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쉘(기본사용쉘)의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의 예를 보기 바란다.
[root@sulinux
root]# id |
편법이겠지만 root권한에서 사용자의 기본사용쉘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etc/passwd의 마지막 필드값을 변경해주어도 변경한 쉘이 적용된다.
즉, vi로 /etc/passwd를 열어서
bible:x:500:500:SungSoo:/home/bible:/bin/bash |
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줘도 적용된다는 의미이다.
bible:x:500:500:SungSoo:/home/bible:/bin/csh |
이것은 시스템관리의 편법이므로 여러분들은 참고만 하기 바란다.
이상으로 이번 강좌에서 설명했던 “사용자”와 “그룹”관리에 대한 모든 설명을 마친다.
실제 서버관리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하고 관리되고있는가를 중심으로 많은 것을 전달하려고 애썼지만 역시나 필자에겐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필자는 거듭, 거듭 노력에 노력을 하고 있음을 전하면서 다음과 같은 당부를 남기면서 이번 장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그룹관리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시스템 사용자의 주체인사용자와 그룹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시스템의 기본관리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