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29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먼저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자.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전체적으로 역tree구조를 하고 하고 있으며, 명령어의 성격과 내용 및 사용권한등에 따라 구분되어 있다. 또한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는 FSSTND(Linux File System Standard)라는 파일시스템의 표준에 따르며 거의 모든 리눅스에서는 이 표준을 따라서 디렉토리를 구성하고 있다.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를 알아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root디렉토리에서 아래와 같이 "ls -l"을 해보는 것이다.
이들 디렉토리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 최상의 디렉토리인 루트디렉토리. /bin : 중요하고 꼭 필요한 명령어가 있는 디렉토리. /boot : 커널(vmlinux등)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dev : 시스템 디바이스(device)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etc : 패스워드파일등 시스템의 전체 환경설정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ID와 동일한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가짐. /lib : 프로그램(C, C++등)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를 저장. /mnt : 플로피, CD-ROM등 마운트를 위한 디렉토리. /proc :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시스템의 정보를 파일형태로 보여주는 가상디렉토리. /root : root의 홈디렉토리. /sbin :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tmp :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디렉토리.(정기적으로 삭제됨) /usr : 각종 어플리케이션등이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 /usr/X11R6 : X 윈도우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 /usr/include : C 프로그램에 필요한 헤드파일(*.h) 디렉토리. /usr/lib : /lib에 들어가지 않은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usr/man :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주는 매뉴얼(manual)페이지 디렉토리. /usr/sbin : /bin에 제외된 명령어와 네트웍관련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usr/src : 프로그램 소스(주로 커널소스)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usr/local : 아파치같은 추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는 장소. /var : 시스템운용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토리. /var/log : 각종 로그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mail : 메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lpd : 프린트를 하기 위한 임시 디렉토리(스풀링 디렉토리). 이상으로 리눅스, 주로 레드헷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