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time (시스템의 운용시간, 부하율등을 확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94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uptime
uptime은 다음과 같은 한줄의 정보를 출력해준다.
. 현재시간
. 시스템이 부팅후에 얼마동안 꺼지지 않고 운용되었는가?
.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된 사용자수 (/var/run/utmp파일 참조함)
. 각각 1분, 5분, 15분동안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
즉, uptime이라는 명령어는 서버관리자가 서버의 전체적인 부하율을 확인하고자 할때에 사용한다.
또한 uptime은 top과 w의 실행과에서 맨 첫번째 행을 표시해 주기도 한다.
그리고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c파일시스템을 참조하기도 한다.
사용형식
uptime
uptime [-V]
사용예 #1
아래 예와 같이 uptime에는 별도의 옵션이 없으며 그냥 "uptime"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표시해 준다.
[root@host3 root]# uptime
8:36pm up 76 days, 11:00, 3 user, load average: 0.03, 0.05, 0.00
결과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8:36pm : 현재시각이 오후 8시 36분임을 나타냄.
. up 76 days : 76일동안 재부팅되지 않고 계속 운용되었음
. 3 user :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수는 3명임
. load average: 0.03, 0.05, 0.00 : 각각 1분, 5분, 15분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을 나타냄.
이 결과값으로 시스템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기는 어렵겠지만 시스템에 부하가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이 결과치의 맨 오른쪽에 있는 3개의 수치값이 터무니 없이 높을 때에는 너무 많은 프로세스들의 실행으로 CPU와 Memory에 부하가 있는가? 라는정보를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uptime의 결과는 시스템 점검시에 유용한 시스템부하율로 참조된다.
저작권:수퍼유저코리아(www.superuser.co.kr), 무단 재배포및 복사를 금합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