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FTP로 가상유저FTP 서비스 하기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97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VSFTP로 가상유저FTP 서비스하기 가상유저 FTP란 로컬 시스템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유저들로 FTP 로그인을 허락하고 운영하는 환경입니다. 로컬 시스템에 계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FTP만을 위한 사용자를 추가,삭제할 수 있는 FTP 시스템입니다. 1. 가상유저 데이터베이스 생성 FTP 가상유저를 생성하기 위해 가상유저와 패스워드가 담긴 DB파일을 만들어야 되는데 간단히 사용자 ID와 비밀번호가 입력된 텍스트파일을 db_load 유틸을 이용해 DB포맷으로 변환해 줌으로써 가상유저가 사용할 사용자 DB 파일을 만들수 있습니다. 먼저 FTP가상유저의 ID와 비밀번호를 설정할 텍스트 파일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텍스트 파일이 만들어졌으면 이제 DB 포맷으로 변환을 합니다.
virtual_user.txt 파일을 vsftpd_login.db로 변환하는데 변환된 파일을 /etc 디렉토리안에 넣어둡니다. 2. 사용자 인증에 사용할 PAM 파일 생성 PAM에 대한 강좌는 차후에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그때 자세히 공부하고 이번강좌에는 에플리케이션의 인증모듈이라고만 알고 넘어가기로 하죠. PAM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후 /etc/pam.d 디렉토리에 vsftpd 라는 이름으로 생성합니다. auth required /lib/security/pam_userdb.so db=/etc/vsftpd_login account required /lib/security/pam_userdb.so db=/etc/vsftpd_login 우리가 지금까지 생성한 /etc/vsftpd_login.db 파일과 /etc/pam.d/vsftpd 파일이 FTP 접근허가를 위해 사용됩니다. 3. 가상유저 계정 생성과 가상유저들이 사용할 디렉토리 생성 가상유저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상유저들이 사용할 실제 계정을 하나 만들어줘야 됩니다 다음과 같이 virtual 이라는 계정을 추가합니다. virtual 이라는 계정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으면 system의 host 파일을 /home/ftpsite 디렉토리에 복사를 합니다. 복사한 hosts 파일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은 virtual로 수정합니다. 4. 가상FTP 환경설정 파일 세팅 이제 마지막으로 가상 FTP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설정파일을 작성할 것입니다. anonymous_enable=NO 아래는 설정된 화면을 캐쳐한 것입니다. 캡쳐화면에 # 로 시작하는 행은 주석입니다. 위와같이 설정이 되었다면 가상유저의 홈디렉토리인 /home/ftpsite 에 가상유저별 홈디렉토리를 생성해야됩니다. 가상유저별 홈디렉토리명은 가상유저 ID로 생성하고 생성된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virtual로 세팅을 해 줍니다. 이제 가상유저FTP를 운영하기 위한 준비는 모두 끝났습니다. 5. vsftpd 실행 가상유저FTP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vsftpd를 Standalone 방식으로만 작동시켜야 됩니다.
6. 가상유저로 ftp 접속하기 아래화면은 myid, yourid 로 각각 접속한 화면입니다. 각각의 가상유저는 자신의 홈디레토리 즉 /home/ftpsite/myid 와 /home/ftpsite/yourid 로 접속되었고 자신의 홈 디렉토리가 FTP 루트디렉토리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myid 로 접속한 화면 *yourid 로 접속한 화면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상유저들이 각각의 홈디렉토리로 FTP 접속이 잘 이루어지고 있네요. VSFTP로 가상유저FTP 서비스하기 강좌는 여기서 끝.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