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spoofing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64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spoofing이라는 것은 '속이다'라는 의미이고 IP spoofing은 IP를 속여서 공격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현재 알려진 TCP/IP 프로토콜의 약점을 이용한 IP spoofing은 다음과 같다.
- 순서제어번호 추측(Sequence number guessing)
- 반(Half)접속시도 공격(SYN flooding)
- 접속가로채기(Connection hijacking)
- RST를 이용한 접속끊기(Connection killing by RST)
- FIN을 이용한 접속끊기(Connection killing by FIN)
- SYN/RST패킷 생성공격(SYN/RST generation)
- 네트워크 데몬 정지(killing the INETD)
- TCP 윈도우 위장(TCP window spoofing)
그러나 일반적으로 IP spoofing이란 케빈미트닉이 사용한 방법을 의미하며 순서제어번호추측 공격, 반(Half)접속시도 공격 등이 함께 사용되는 고난도의 수법으로 볼 수 있다.
1. 위 그림에서 C는 A로 자신의 IP주소를 위장하여 SYN를 보내 접속요청을한다.
2.이후, C는 B로 정상적인 접속을 시도하여 순서제어번호의 변화를 패킷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관측한다.
5. C는 자신의 IP 주소를 A주소로 위장하여 추측된 순서제어번호를 이용해 B가 A로 보낸 SYN/ ACK에 대한 ACK를 B에 보낸다.
6. 결국 C와 B 불법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B와 A는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착각한다.
7. 이후 rsh을 이용하여 echo '+ +' >/.rhosts과 같은 데이터를 보내면 된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패킷중에서 출발지 IP주소(Source IP Address)에 내부망 IP주소를 가지고 있는 패킷을 라우터 등에서 패킷 필터링을 사용하여 막아낼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