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스케이프 (Ver 4.05)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69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 |
*여기에서는 넷스케이프의 전반적인 사용방법과 사용설명, 그리고 기능위주로 메뉴얼을 구성할 것입니다. 혹, 잘못된 부분이나 추가, 변경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주십시요. 타당한 말씀들은 꼭 모두 반영토록 하겠습니다. * |
또한, 이 대화상자에서 중요한 것은 창아래에 보이는 프로그램의 설치장소를 지정하는 것인데, 보통은 그대로 두는 것이 좋을 듯 싶다.
|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의 구성은 아래 그림과 같이 "Communicator"메뉴를 보면 잘 알수 있습니다. 웹브라우즈 프로그램으로 커뮤니케이터를 구성하고있는 여러가지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인터넷의 수많은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의 전자우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즈넷 뉴스그룹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만들고 편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AOL Instant Messenger 인터넷에서 일대일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음성및 영상회의를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에 가입하여 새로운 자료를 자동으로 받아 볼 수 있는 웹 캐스팅 프로그램입니다.
참고사항)
넷스케이프 켜뮤니케이터의 다양한 배포판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는 그 구성요소에 따라 아래 4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Base Install판 Navigator, Messenger, Collabra, Composer, AOL Instant Messenger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됨 Complete Install판 Navigator, Messenger, Collabra, Composer, AOL Instant Messenger, Netcaster, Conference, Bistream fonts와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각종 플러그인 프로그램들이 포함되어 있음. Professional edition판 Complete Install판 모두와 인트라넷용 소프트웨어들이 추가되어 있는데, 일정관리 프로그램인 Calender, 중앙 집중식관리프로그램인 AutoAdmin, IBM호스트 프로그램인 IBM Host On-Demand등이 있음. Navigator Stand Alone판 Navigator와 Netcaster로만 구성되어 있음. 가장 기본적인 구성요소. |
A : 웹페이지 제목 웹페이지의 제목이 나타나는 부분으로 북마크 추가시 북마크 내용으로 사용된다. 웹문서의 <title>제목</title> 부분에 들어가는 제목이 여기에 나타나게 된다. B : 주메뉴 전체메뉴로 풀다운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장에 전체메뉴의 설명이 되어 있다 참고바란다. C : 툴바(Toolbar) 자주사용되는 메뉴의 기능을 아이콘으로 만들어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D : 책갈피(Bookmark) 자신이 즐겨 찾는 페이지의 주소를 등록하고 삭제도 할 수 있으며, 위치이동도 가능하다. 등록된 주소를 일일이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간단히 클릭만으로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한 기능이다. 자세한 사용법은 뒷부분의 "북마크(BOOKMARK)"편을 참고바란다. E : 로케이션툴바(Location Toolbar) 현재 위치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를 보여주며 직접 주소를 입력하여 원하는 사이트를 검색할 수 있다. F : 퍼스널 툴바(Personal Toolbar) 북마크폴더 중 자주 접속되는 주소를 툴바처럼 설정하여 사용한다. G : 로고창(Navigator Logo) 별들이 쏟아지면서 페이지의 전송상태를 나타내며, 로고를 클릭하면 넷스케이프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H : 컴포넌트 툴바(Component Toolbar) 네비케이터, 전자메일, 유즈넷및 편집기를 열거나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H 부분을 클릭하면 바로 밑에 위치한 그림(컴포넌트)을 숨기거나 보이게 할 수 있다. I : 상태바(Statusbar) 브라우저의 현재상태를 나타내며, 전송율과 이미지파일이름등 여러가지 유용한 정보들을 보여주는 곳이다. |
새로만들기 웹브라우즈 메시지 공백페이지 탬플릿사용 마법사사용 페이지열기 다른이름으로 저장 프레임저장 페이지보내기 페이지편집 프레임편집 파일업로드 오프라인작업 페이지설정 미리보기 인쇄 닫기 종료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전체선택 찾기 다시찾기 인터넷검색 디렉토리검색 환경설정
검색도구모음감추기(보여주기) 위치도구모음감추기(보여주기) 개인도구모음감추기(보여주기) 글꼴증가 글꼴감소 다시읽기 이미지보기 다시그리기 읽기중지 애미메니션중지 페이지소스 페이지정보 페이지서비스 인코딩
뒤로 앞으로 홈 History목록 Navigator Messenger Collabra Composer Conference Netcaster ※ 위의 프로그램들의 설명은 앞부분의 "커뮤니케이터의 구성"편에서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컴퍼넌트바 보여주기 메시지센타 주소록 책갈피 방문기록 자바콘솔 보안정보
도움말 제품출시정보 제품정보및 지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록페이지 회원서비스 인터넷 사용자들 보안 넷티켓 플러그인 정보 글꼴표시기정보 Communicator정보 |
"환경설정"편에서는 웹브라우즈를 사용하면서 자기에게 맞는 여러가지 선택사항(옵션)들을 설정하게 해 주는 기능입니다.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편집"메뉴의 "환경설정"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환경설정창이 뜨게 됩니다. ★ 자, 그럼 아래 메뉴를 클릭하시든지 아니면 아래그림의 왼쪽편의 항목에서 알고싶은 옵션부분을 클릭하면 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외양][브라우즈][메일및뉴스][편집기][오프라인][고급] 인터넷을 시작할때 초기화면의 주소와 방문했던 페이지의 히스토리 만기일을 설정한다. 홈페이지 : 이 부분은 웹브라우즈를 실행하면 처음으로 접속하기 위한 시작페이지를 지정하는 곳입니다. "현재페이지사용"부분을 클릭하면 현재 접속된 웹의 URL을 자동으로 입력하게 된다. |
넷스케이프를 시작할때 브라우즈창(Navigator)만을 실행시키고 툴바는 "그림및 텍스트"가 나타나도록 설정되어 있다.
툴바표시
글꼴(Fonts) 기본설정 값으로 폰트타입과 사이즈를 설정한다.
색(Colors) 웹페이지의 배경, 텍스트 및 하이퍼링크의 색상을 설정한다.
|
언어(Language) 사이트를 방문할때 서버가 준비해둘 수 있는 여러 언어의 페이지들 중 한페이지를 전송받는데 이곳에서 설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언어로 보게된다.
프로그램(Applications) 브라우즈의 기능을 확장하기위한 외부보조 응용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곳이다.
|
메일및뉴스(Mail & Groups)
텍스트의 형태와 크기, 색깔을 지정한다.
|
|
신원(Identity)
이름 : 본인의 이름을 영문또는 한글로 입력한다.
전자우편주소 : 본인의 전자우편주소를 입력한다.
답장받을주소 : 본인이 답장 받을 전자우편주소를 기입하는 란으로 보내는 주소와 받는 주소가 다를경우에 기입한다.
기관/회사 : 본인의 소속이나 기관이름을 기입한다.
서명파일 : 메일에 삽입되는 서명파일명을 기입한다.
|
|
메시지(Messages)
메시지 관련 한글의 깨짐 방지를 설정한다.
|
|
메일서버(Mail Server)
메일서버사용자이름 : ISP에 가입시 발급받은 login ID를 기입한다.
보내는 메일서버 : 메일서버의 이름을 기입한다.
받는 메일서버 : 본인이 수신할 메일서버의 이름으로 보통 "보내는 메일서버"와 같다.
메일서버타입
- POP3(Post Office Protocol) : 메일서버의 메시지가 본인 PC에 모두 저장된 후 서버상의 메일은 clear된다. offline상태에서도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메시지 가져온후 서버에 남김"이 체크되어 있으면 메일을 읽은 후에도 메일서버에는 메시지가 남아 있게 된다.
-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메시지는 메일서버에 기본적으로 보관되며 본인의 inbox를 열면 메시지의 헤더(주제, 발송날짜, 발신자이름, 소속, 수신자이름)가 저장되고 헤더를 클릭할때에 메시지는 본인 PC에 다운로드되고 offline상태에서는 메시지를 볼수 없다.
|
|
뉴스서버(Groups Server)
토론그룹(뉴스)서버 : 뉴스그룹을 이용할 수 있는 서버의 이름을 입력한다.
포트 : 포트의 기본값은 119이나 인터넷서비스업체마다 다를 수 있다.
|
|
디렉토리(Directory)
인터넷에서 사람을 찾을때 이용하는 검색서비스를 지정한다.
|
|
편집기(Composer)
웹페이지의 소스를 편집하거나 이미지 파일을 수정하려고 할때 사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정한다.
|
|
출판(Publishing)
웹상의 페이지를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편집될 HTML을 서버에 올릴때의 환경으로 여기서는 기본값을 나타낸다.
|
|
오프라인(Offline)
인터넷 접속을 Offline상태에서 시작할지 Online상태에서 시작할지를 설정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