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의 네트웍설정파일들(sqlnet.ora, tnsnames.ora)의 위치는 디폴트로 $ORACLE_HOME/network/admin이다. 이 위치는 사용자가 다른 곳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오라클 클라이언트 설정파일인 tnsnames.ora파일을 예로 들어, 각각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다.
1. $ORACLE_HOME/network/admin (환경변수 TNS_ADMIN으로 설정) 대개 별다른 이유가 없다면 이 곳에 설정파일을 둔다. 오라클을 설치하면, 일반적으로 환경변수 TNS_ADMIN를 $ORACLE_HOME/network/admin 로 설정하기 때문이다.
[root@linux etc]# echo $TNS_ADMIN /u01/app/oracle/product/8.1.7/network/admin [root@linux etc]# cat $ORACLE_HOME/network/admin/tnsnames.ora admin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2)(PORT = 1521)) ) (CONNECT_DATA = (SID = db) ) )
[root@linux etc]# sqlplus scott/tiger@admin
그럼, TNS_ADMIN을 다른 위치로 변경해 보자. [root@linux tmp]# export TNS_ADMIN=/tmp [root@linux tmp]# echo $TNS_ADMIN /tmp [root@linux tmp]# cat /tmp/tnsnames.ora tmp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2)(PORT = 1521)) ) (CONNECT_DATA = (SID = db) ) )
[root@linux tmp]# sqlplus scott/tiger@tmp
2. 디렉토리 /etc에 지정
[root@linux etc]# echo $TNS_ADMIN /u01/app/oracle/product/8.1.7/network/admin [root@linux etc]# unset TNS_ADMIN [root@linux etc]# echo $TNS_ADMIN
[root@linux etc]# cat /etc/tnsnames.ora etc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2)(PORT = 1521)) ) (CONNECT_DATA = (SID = db) ) )
[root@linux etc]# sqlplus scott/tiger@etc
3.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지정 환경변수 TNS_ADMIN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서 이 설정사항이 제일 우선시된다. 특이하게 UNIX방식의 hidden파일접두어 .을 사용하여 파일명을 지정한다. 즉, $HOME/.tnsnames.ora sqlnet.net또한 $HOME/.sqlnet.ora 과 같이 해주면 된다.
[kang@linux kang]$ cat $HOME/.tnsnames.ora home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2)(PORT = 1521)) ) (CONNECT_DATA = (SID = db) ) )
[kang@linux kang]$ sqlplus scott/tiger@home
| This article comes from dbakorea.pe.kr (Leave this line as 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