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dblocks실무6편: 읽기/쓰기 모드로 배드블록(badblock) 점검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3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badblocks실무6편: 읽기/쓰기 모드로 배드블록(badblock) 점검하기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읽기/쓰기 모드에서 함께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것이다.
하지만 쓰기모드로 배드블록을 검사하면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이번에는 배드블록 점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을 설명이므로 졸지말고(?) 대충 읽지도 말고 반드시 정독하도록 한다.
즉 지금까지 우리는 badblocks로 배드블록을 점검할 때에 모두 디스크를 읽는 즉, read only모드로 점검을 한 것이다.
하지만 배드블록 점검을 정확하게 하려면 write(쓰기)에 대해서도 배드블록을 점검해야 한다.
하지만 이 쓰기모드에 대한 배드블록 점검은 시간이 꽤 오래 걸리는 작업이다.
실제로 해보면 “read only”모드 점검보다도 10배 이상 더 긴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마운트되어 있는 디스크를 대상으로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것은 꽤 위험하다.
가능하면 마운트되어있지 않은 즉, 마운트 해제된 상태에서 배드블록을 점검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배드블록 점검을 하다보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러분과 저 같은 시스템관리자들은 다음과 같은 옵션들을 알아두어야 한다.
badblocks명령어에서 -n옵션은 read/write모드로 배드블록을 점검해 준다.
하지만 마운트되어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점검수행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점검방식이 랜덤(random)패턴을 사용한다.
이것이 뒤에서 설명 할 -w옵션과의 차이점이다.
먼저 -n에 대한 예이다.
[root@sulinux ~]# mount /dev/sda5 on / type ext3 (rw) /proc on /proc type proc (rw) sysfs on /sys type sysfs (rw)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dev/sda3 on /home type ext3 (rw) /dev/sda1 on /boot type ext3 (rw) tmpfs on /dev/shm type tmpfs (rw) none on /proc/sys/fs/binfmt_misc type binfmt_misc (rw) sunrpc on /var/lib/nfs/rpc_pipefs type rpc_pipefs (rw) /dev/sdb1 on /backup type ext3 (rw) [root@sulinux ~]# [root@sulinux ~]# badblocks -n -v /dev/sdb1 /dev/sdb1 is mounted; it's not safe to run badblocks! [root@sulinux ~]# |
위의 예를 보면 moun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dev/sdb1이 /backup에 마운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운트되어 있는 /dev/sdb1에 대하여 badblock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마운트되어 있기 때문에 badblocks을 수행할 수 없다(/dev/sdb1 is mounted; it's not safe to run badblocks!)라는 메시지를 보여주고 수행을 중단한다.
그리고 이번에는 /dev/sdb1의 마운트를 해제하고 다시 한번 badblocks을 수행하였다 .
[root@sulinux ~]# badblocks -n -v /dev/sdb1 Checking for bad blocks in non-destructive read-write mode From block 0 to 10482380 Testing with random pattern:
|
위와 같이 배드블록 점검을 수행하게 된다.
즉, -n옵션을 사용하면 read/write모드로 배드블록 점검을 하면서, 마운트되어 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배드블록 점검을 수행하지 않는다.
보다 안전한 점검방법이므로 필자가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이번에는 -w옵션에 대한 설명이다.
즉, -w옵션과 -n은 거의 유사한 옵션이다.
두가지 모두 read/write모드로 배드블록을 점검한다.
그리고 둘 모두 마운트되어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점검하지 않는다.
하지만 -n옵션이 random방식의 패턴 이용하여 점검하는 반면 -w옵션은 특정 패턴(0xaa, 0x55, 0xff, 0x00)을 사용하여 배드블록을 점검한다.
다음은 -w옵션을 사용한 점검 예이다.
[root@sulinux ~]# badblocks -v -w /dev/sdb1 Checking for bad blocks in read-write mode From block 0 to 10482380 Testing with pattern 0xaa:
|
위의 예는 read/write모드로 배드블록을 점검하면서 0xaa패턴을 사용하여 점검하는 예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w옵션에서도 마운트되어있는 디스크에 대해서는 점검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배드블록을 점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친다.
여러분과 저 같은 시스템관리자들에게 있어서 디스크의 배드블록은 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다.
배드블록이 여러분들을 괴롭히기 전에 여러분이 먼저 배드블록을 발견하고 먼저 조치하면 배드블록으로 인하여 괴로운 일을 없을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