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잠시 이책이 3COM스위치에 대해서 다루는 이유와 그 범위에 대해서 잠시 언급하도록 하겠다.
현재 우리의 목적은 MRTG를 이용하여 다양한 네트웍자원(Router, Switch, Hub, Server등)을 분석하여 그 상황을 웹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이런 모니터링을 위해서 꼭 필요한 프로토콜이 SNMP라는 것이며 네트웍관련된 담당자라면 SNMP에 관한 프로토콜쯤은 자세히 알고 있어야한다.
그럼, MRTG로 네트웍자원의 모니터링을 하는 구체적인 장비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이 우리가 3COM스위치나 뒤에서 설명하게될 라우터의 기본적인 설정방법을 알고 있어야하는 이유이다 .
MRTG로 모니터링하는 대상의 거의 대부분이 스위치나 라우터이며 또한 개별 서버(Linux, NT, Win2000등의 운영체제를 가진 서버들, 웹서버, 메일서버, DB서버, DNS서버등)들도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실무적인 측면에서 볼 때 MRTG운용담당자들은 거의 대부분 스위치나 라우터를 직접 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이유에서 MRTG와 밀접하게 관련된 장비인 스위치나 라우터에 대해서 우리가 알아야하는 이유이다.
메인메뉴
Bridge : STP나 멀티캐스트 필터링(multicast filtering)등 스위치의 브릿지기능과 VLAN기능에 대한 설정한다.
ethernet : 개별포트의 운용상태설정(Enable, Disable)와 이들 포트에 대한 각종상황등을 볼 수 있다.
feature : 포트의분석, 브로드캐스팅 흐름제어설정, Resilient링크의 설정과제거, 트렁크(Trunk)의 설정등을 할 수 있다.
ip : IP와 관련된 설정의 확인 및 설정, 다른장비로의 ping테스트, IP관련설정의 초기화등을 할 수 있다.
logout : 로그아웃을 한다.
snmp : SNMP와 관련된 정보(get, next, set, trap)를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system : 스위치자체에 대한 설정과 확인을 할 수 있다.
브리지(bridge)정보확인
명령어 : bridge/display
스위치의 브리지(bridge)의 정보(stpState, aging time등)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포트 MAC 주소확인
명령어 : bridge/port/address/list
이 명령어를 이용하면 아래 예와같이 개별포트의 MAC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포트의 MAC주소확인
명령어 : bridge/port/address/list
이 명령을 이용하면 특정포트의 MAC주소를 확인한다.

특정포트설정상황 보기
명령어 : bridge/port/detail
이명령을 이용하면 아래 예와 같이 개별 포트의 설정상황을 자세히 볼 수 있다.

포트의 종합정보보기
명령어 : bridge/port/summary
이 명령을 이용하면 아래 예와 같이 각 포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ort : 포트번호
stpState
Disable : 해당포트가 Disable되어 있다는 의미
Link Down : 해당포트가 Enable되어 있지만 링크가 다운(Down)되어 있다는 의미.
그외 가능한 상태값은 Blocking, Listening, Learning, Forwarding, Broken등이 있다.
VLAN 종합정보보기
명령어 : bridge/valn/summary
이 명령은 설정된 VLAN의 vlan ID, vlan, name을 볼 수 있다.

포트의 네트웍상태조회
명령어 : ethernet/statistics
위의 명령을 이용하면 개별 포트의 네트웍통신상황을 알 수 있다.

Port : 현재 선택된 포트번호(예, 20)
Port Speed : 포트에 할당된 속도(예, 100Mbps)
Received State : 해당포트의 수신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Fragments와 Collisions값등을 볼 수 있다.
- Unicast Packets : 단일목적지주소로 수신된 패킷
- Non Unicast Packets : multicast나 broadcast로 전송된 패킷
- Octets : 8bit단위의 octets값의 정상수신값.
- Fragments : 수신된 패킷들중 불완전한(incomplete) 패킷수
Transmitted Stats : 해당포트의 전송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 Unicast Packets : 단일목적지수소로 송신된 패킷.
- Non Unicast Packets : Multicast나 Broadcast로 송신된 패킷
- Octets : 8bit단위의 octets값의 송신된 값
- Collisions : 총 Collision된 수치값
Errors : 에러체크를 위하여 CRC에러 발생등을 볼 수 있다.
- Undersize : IEEE 802.3에서 정의된 최소 패킷사이즈보다 더 적은 패킷수.
- CRC errors : CRC로 체크된 에러 수치.
- Oversize : IEEE 802.3에서 정의된 최대 패킷사이즈보다 더 큰 패킷수.
- Jabbers : 8000 octets보다 더 긴 패킷수.
개별포트의 송수신 상태확인
명령어 : ethernet/summary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개별 포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Port : 포트번호
- State : 포트 상태
- RX Packets : 수신된 패킷수
- RX Octets : 수신된 Octets 수
- Errors : 에러발생 수 (이 수치가 높다면 자세한 점검이 필요하다.)
스위치의 IP 설정정보확인
명령어 : ip/interface/display
위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장비(스위치)자체의 네트웍설정(IP, Subnet mask, default gateway등)상황을 볼 수 있다.
SNMP메뉴
현재 이 책의 주제인 MRTG를 이용한 네트웍 및 다양한 자원모니터링에 꼭 필요한 프로토콜이 SNMP이다.
SNMP의 구체적인 객체가 되는 MIB값들은 표준값외에도 장비자체의 MIB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 메뉴에서는 SNMP로 통신하기위한 community name설정이 가능하며 또한 SNMP에 대한 명령을 수행이 가능하며(get, next) 변경(set)과 장비모니터링을 위한 트랩(trap)또한 가능하다.
우선 SNMP메뉴에서 제공하는 메뉴는 다음과 같다.

- Community : SNMP의 community name을 설정한다.
- Get : snmpge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Next : snmpgetnex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Set : snmpset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 Trap : snmptrap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다.
SNMP community name 설정
명령어 : snmp/community
이 명령을 이용하면 아래 예와 같이 각 계정별 community name설정이 가능하다.

snmpget 명령수행
명령어 : snmp/get
이 명령을 통해서 snmpget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snmpgetnext 명령수행
명령어 : snmp/next
이 명령을 통해서 snmpgetnext 명령을 수행할수 있다.

스위치 설정정보확인
명령어 : system/display
이명령은 현재장비(스위치)의 초기 설정상황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여기서 확인가능한 정보는 장비모델명, 장비이름, 하드웨어버전, Boot버전, MAC주소, 제조번호, 시리얼번호등이다.
접속 계정확인
명령어 : system/security/user/diaplay
이 명령은 이 장비(스위치)에 설정된 계정정보를 볼 수 있다.

위의 예에서 현재 설정된 계정명은 admin, manager, monitor, security가 있으며 각각에 대하여 접근레벨(access level)과 community name이 설정되어 있다.
접속계정의 접근권한 확인
명령어 : system/security/access/display
이 명령은 위에서 확인한 계정들의 접근권한을 보여준다.

접근방식은 snmp을 통한 쿼리접근, 콘솔(console)접근, 텔넷을 이용한 원격접근(telnet), 웹인터페이스접근(web)의 네가지 접근권한이 있다. 앞서 확인한 각 계정별 접근권한이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계정패스워드 변경하기
명령어 : system/password
이 명령은 현재 접속한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다.

- Old password : 현재 사용중인 패스워드입력
- Enter new password : 새로운 패스워드입력
- Retype password : 새로운 패스워드 재입력
관리자 접근권한설정
명령어 : system/security/access/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