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e2fs실무9편: 파일시스템 포맷후에 마운트하고 사용하는 간단한 예보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2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e2fs실무9편: 파일시스템 포맷후에 마운트하고 사용하는 간단한 예보기
너무나 당연한 얘기겠지만 “파티셔닝->포맷->마운트->파일저장->/etc/fstab에 등록”등과 같은 순서대로 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파일시스템을 포맷한 후에 마운트하고 사용하는 것까지 보도록 하자.
다음은 마운트할 디렉토리(마운트포인트)를 생성한 것이다.
[root@RockyLinux01 ~]# mkdir /sulinux [root@RockyLinux01 ~]# |
그리고 다음은 /dev/sdc1을 ext4타입으로 다음과 같이 포맷을 하였다.
물론 mke2fs로도 포맷을 할 수 있다.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4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4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26:34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bad01263-d07a-4bc8-8d38-3b9927747b91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
그리고 다음은 /dev/sdc1파일시스템 장치를 /sulinux라는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였다.
이제 이렇게 마운트된 상태에서는 /sulinux라는 곳으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데이터를 옮기거나 디렉토리 및 파일을 새로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일반 디렉토리 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root@RockyLinux01 ~]# mount /dev/sdc1 /sulinux [root@RockyLinux01 ~]# |
그리고 다음은 마운트된 정보를 확인해 보았다.
마운트된 정보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mount”를 실행하면 된다.
참고로 “df -h” 또는 “cat /etc/mtab”을 실행해 보아도 마운트된 정보를 볼 수 있다.
[root@RockyLinux01 ~]# mount | grep sulinux /dev/sdc1 on /sulinux type ext4 (rw,relatime) [root@RockyLinux01 ~]# |
확인 결과 /sulinux라는 위치에 /dev/sdc1파일시스템이 ext4타입으로 read/write모드로 마운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혹,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 예와 같이 “df -h”을 실행하여 디스크 사용량정보를 확인해 볼 수도 있다.
[root@RockyLinux01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4.0M 0 4.0M 0% /dev tmpfs 974M 0 974M 0% /dev/shm tmpfs 390M 6.1M 384M 2% /run /dev/mapper/rl-root 37G 24G 14G 64% / /dev/sdb2 1014M 256M 759M 26% /boot /dev/sdb1 599M 9.4M 590M 2% /boot/efi tmpfs 195M 52K 195M 1% /run/user/42 tmpfs 195M 36K 195M 1% /run/user/0 /dev/sdc1 98G 24K 93G 1% /sulinux [root@RockyLinux01 ~]# |
이제 /sulinux라는 곳으로 파일을 복사하거나 원하는 작업들을 얼마든지 수행할 수 있다.
또 필요할 경우에는 /etc/fstab파일에 자동마운트 설정을 등록해두면 부팅후에도 지속적으로 마운트가 되어있을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