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e2fs실무7편: 아이노드당 바이트수를 지정하여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8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e2fs실무7편: 아이노드당 바이트수를 지정하여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때에 하나의 INODE용량을 얼마로 할 것인가를 byte단위로 지정하여 포맷할 수 있다.
mke2fs는 -i라는 옵션을 이용하여 아이노드당 바이트수(bytes-per-inode)를 지정하여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할 것은 -i옵션으로 주어지는 값은 최소 1024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i옵션없이 그냥 mke2fs가 사용되면 기본값으로 4096이 주어지게 된다.
이 값(bytes-per-inode ratio)이 클수록 inode는 보다 작게 생성된다.
반대로 이 값이 작을수록 inode는 더 많이 생성될 것이다.
주의할 점은 이 값(bytes-per-inode ratio)으로 지정하는 값은 해당 파일시스템의 블록크기(Block size)보다 작아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다음은 /dev/sdc1에 대한 ext4타입의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서 bytes-per-inode값으로 4096을 지정한 것이다.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4 -i 4096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26214400 inodes Filesystem UUID: 07500cba-8ef5-42a8-afc4-e0ebe56f1d61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