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e2fs실무4편: 파일시스템 레이블 지정하여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11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e2fs실무4편: 파일시스템 레이블 지정하여 파일시스템 포맷하기
다음은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면서 해당 파일시스템의 레이블명(Label)을 설정하는 예를 보도록 하자. 파일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레이블이란 파일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의 파일시스템이름이다.
물론 파일시스템을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는 별도로 존재하고 또한 장치명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하지만 /etc/fstab파일을 보면 파일시스템의 장치명 대신 레이블명으로 파일시스템에 대한 자동마운트설정을 하고있다.
이외에도 파일시스템의 레이블명으로 사용하는 것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하여 우리는 파일시스템의 레이블명을 지정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레이블명은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할 때에 즉 포맷할 때에 레이블명을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를 보도록 하자.
[root@RockyLinux01 ~]# mke2fs -t ext4 -L /backup /dev/sdc1 mke2fs 1.46.5 (30-Dec-2021) /dev/sdc1 contains a ext2 file system created on Fri Jun 23 15:18:48 2023 Proceed anyway? (y,N) y Creating filesystem with 26214139 4k blocks and 6553600 inodes Filesystem UUID: ebb00446-dc98-411c-9b27-93ac943b714c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11239424, 20480000, 2388787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131072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root@RockyLinux01 ~]# |
위의 예는 /dev/sdc1을 ext4타입의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면서 레이블명으로 “/backup”을 지정한 예이다.
이후부터는 /dev/sdc1파일시스템을 /backup이라는 레이블명으로 사용가능하다.
이미 생성된 파일시스템에 대하여 포맷하지 않고 파일시스템의 레이블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은 tune2fs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tune2fs의 -L옵션 다음에 레이블명을 지정하면 이미 생성된 파일시스템에 대하여 레이블명을 설정할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