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e2fs실무1편: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mke2fs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9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ke2fs실무1편: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mke2fs 개론
리눅스에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mke2fs(또는 mkfs)라는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한다.
즉 mke2fs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주된 파일시스템 타입인 ext2와 ext3, 그리고 ext4타입의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하는 명령어이다.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로 장착하였을 경우에는 fdisk로 먼저 파티션을 생성한 다음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포맷작업)해야 한다.
이 mke2fs명령어에서 꼭 알아야 하는 것은 파일시스템의 생성(포맷)결과로 설정되는 항목들이다.
즉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세부항목들이 파일시스템 내에 생성된다.
이 mke2fs명령어에서 꼭 알아야하는 것은 파일시스템의 생성(포맷)결과로 설정되는 항목들이다.
즉 mke2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세부항목들이 파일시스템내에 생성된다.
. Block size 크기
. Fragment size 크기
. inode의 수
. 수퍼유저가 사용할 block의 수(전체 block의 5%를 차지함)
. 첫 번째 데이터블록
. Block group의 수
. 그룹당 블록수
. 그룹당 fragment의 수
. 그룹당 inode의 수
한가지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다.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mke2fs명령어에 대한 설정파일에 대한 것이다.
즉 /etc/mke2fs.conf파일은 mke2fs명령어 설정파일이다.
즉 기본적으로 적용할 여러가지 옵션들과 파일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어떤 옵션을 적용하고 또는 적용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해서 설정되어있는 파일이다.
다음 예를 보자.
[root@RockyLinux01 ~]# cat /etc/mke2fs.conf [defaults] base_features = sparse_super,large_file,filetype,resize_inode,dir_index,ext_attr default_mntopts = acl,user_xattr enable_periodic_fsck = 0 blocksize = 4096 inode_size = 256 inode_ratio = 16384
[fs_types] ext3 = { features = has_journal } ext4 = { features = has_journal,extent,huge_file,flex_bg,metadata_csum,64bit,dir_nlink,extra_isize } rhel6_ext4 = { features = has_journal,extent,huge_file,flex_bg,uninit_bg,dir_nlink,extra_isize inode_size = 256 enable_periodic_fsck = 1 default_mntopts = "" } rhel7_ext4 = { features = has_journal,extent,huge_file,flex_bg,uninit_bg,dir_nlink,extra_isize,64bit inode_size = 256 } rhel8_ext4 = { features = has_journal,extent,huge_file,flex_bg,metadata_csum,64bit,dir_nlink,extra_isize inode_size = 256 } small = { blocksize = 1024 inode_ratio = 4096 } floppy = { blocksize = 1024 inode_ratio = 8192 } big = { inode_ratio = 32768 } huge = { inode_ratio = 65536 } news = { inode_ratio = 4096 } largefile = { inode_ratio = 1048576 blocksize = -1 } largefile4 = { inode_ratio = 4194304 blocksize = -1 } hurd = { blocksize = 4096 inode_size = 128 warn_y2038_dates = 0 } [root@RockyLinux01 ~]# |
위의 /etc/mke2fs.conf파일의 내용은 mke2fs명령어 사용시 적용할 옵션들에 대하여 설정되어있는 설정파일이다.
아무런 옵션없이 mke2fs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어떤 값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이 포함되어 있다.
즉 아무런 옵션없이 mke2fs를 사용하여 특정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면 이 파일의 맨 앞부분에 있는 [defaults]항목이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defaults]
base_features = sparse_super,large_file,filetype,resize_inode,dir_index,ext_attr
default_mntopts = acl,user_xattr
enable_periodic_fsck = 0
blocksize = 4096
inode_size = 256
inode_ratio = 16384
즉 ext2타입, blocksize은 4096byte, inode size는 256등이 기본값으로 적용되어 파일시스템이 생성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