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데몬 스크립트파일 설명 -4-  | 
| 
 작성자 : (주)수퍼유저코리아, http://www.superuser.co.kr 서버팀  | 
 
/etc/rc.d/init.d 디렉토리내에 있는 리눅스데몬스크립트 파일들
  | 
| 
 58.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ntpd  | 
  |    | 
| 
  ntpd데몬(NTPv4 daemon)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NTP(Network Time Protocol)은 클라이언트 호스트나 다른서버에서 참조되는 시간을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condrestart|status 
설정파일 : /etc/ntp.conf 
데몬파일 : /usr/sbin/ntpd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ntpd stop 
Shutting down ntpd: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ntpd start 
Starting ntpd: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ntpd restart 
Shutting down ntpd: [ OK ] 
Starting ntpd: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ntpd status 
ntpd (pid 2747) is running...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ntpd 
ntp 2747 1 0 15:37 ? 00:00:00 [ntpd] 
root 2764 2340 0 15:37 pts/0 00:00:00 grep ntpd 
[root@command init.d]#  |   
  
  | 
| 
 59.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ospf6d  | 
  |    | 
| 
 
  Zebra와 Ipv6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OSPF 라우팅 데몬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reload|condrestart|status 
데몬파일 : /usr/sbin/ospf6d 
설정파일 : /etc/zebra/ospf6d.conf 
   | 
| 
 60.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ospfd  | 
  |    | 
| 
  Zebra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OSPF v2데몬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reload|condrestart|status 
데몬파일 : /usr/sbin/ospfd 
설정파일 : /etc/zebra/ospfd.conf 
 
  | 
| 
 61.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cmcia  | 
  |    | 
| 
   
pcmcia 데몬을 시작(종료)하기 위한 스크립트입니다. PCMCIA는 일반적으로 노트북등에서 사용되는 장치(모뎀, 이더넷등)를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status 
데몬파일 : /sbin/cardmgr 
관련디렉토리 : /etc/pcmcia/ 
PID파일 : /var/run/cardmgr.pid 
설정파일  
- /etc/pcmcia/config 
- /etc/pcmcia/config.opts 
  
  | 
| 
 62.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ortmap  | 
  |    | 
| 
  RPM 포트맵퍼(portmap daemon)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일명 포터맵퍼(portmapper)라고 합니다. 이 portmapper는 NFS와 NIS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RPC연결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portmapper는 RPC매카니즘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탑재되어있어 서버로 사용되는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실행되어있어야 합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reload|condrestart 
데몬파일 : /sbin/portmap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rtmap stop 
Stopping portmapper: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rtmap start 
Starting portmapper: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rtmap restart 
Stopping portmapper: [ OK ] 
Starting portmapper: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rtmap status 
portmap (pid 2958) is running...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portmap 
rpc 2958 1 0 15:53 ? 00:00:00 [portmap] 
root 2972 2340 0 15:53 pts/0 00:00:00 grep portmap 
[root@command init.d]#  |   
  
  | 
| 
 63.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ostfix  | 
  |    | 
| 
  postfix데몬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postfix는 Postfix Mail Transfer Agent로서 메일 릴레이 역할을 합니다. 즉, sendmail과 같은 MTA로서 메일을 다른 메일서버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메일서버 데몬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reload|abort|flush|check|status|condrestart 
데몬파일 : /usr/sbin/postfix 
PID파일 : /var/spool/postfix/pid/master.pid 
설정파일  
- /etc/postfix/main.cf 
- /etc/postfix/master.cf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stfix stop 
Shutting down postfix: [OK]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stfix start 
Starting postfix: [ OK ] 
[root@command init.d]#  |   
  | 
| 
 64.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ostgresql  | 
  |    | 
| 
  PostgreSQL 서버데몬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모든 응답요청을 조절하기위해 PostgreSQL 백엔드(backend) 데몬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데몬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condrestart|reload|force-reload 
데몬파일 : /usr/bin/postmaster 
PID파일 : /var/run/postmaster.pid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stgresql stop 
Stopping postgresql service: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ostgresql start 
Initializing database: [ OK ] 
Starting postgresql service: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post 
postgres 3676 1 0 16:04 pts/0 00:00:00 /usr/bin/postmaster -p 5432 
postgres 3678 3676 0 16:04 pts/0 00:00:00 postgres: stats buffer process  
postgres 3679 3678 0 16:04 pts/0 00:00:00 postgres: stats collector process  
root 3687 2340 0 16:04 pts/0 00:00:00 grep post 
[root@command init.d]#  |   
  
  | 
| 
 65.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rivoxy  | 
  |    | 
| 
  privoxy데몬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Privoxy는 쿠키(cookies)관리와 광고파일들을 삭제함으로서 개인정보 보호와 웹페이지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보다 향상된 필터링성능을 보유한 웹프락시서버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load|restart|condrestart|status|top 
데몬파일 : /usr/sbin/privoxy 
관련디렉토리 : /etc/privoxy/ 
설정파일 : /etc/privoxy/config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start 
Starting privoxy: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stop 
Stopping privoxy: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start 
Starting privoxy: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restart 
Stopping privoxy: [ OK ] 
Starting privoxy: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status 
privoxy (pid 3747) is running...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rivoxy top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privoxy 
privoxy 3747 1 0 16:16 ? 00:00:00 [privoxy] 
root 3761 2340 0 16:16 pts/0 00:00:00 grep privoxy 
[root@command init.d]#  |   
  
  | 
| 
 66.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sacct  | 
  |    | 
| 
  커널에 의해 수행되었던 프로세스 어카운팅(프로세스명, 명령어)를 보관하는 데몬 스크립트입니다. 이 데몬이 수행되면 /var/account/pacct라는 파일에는 커널에 의해 수행되었던 모든 명령어들이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됩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reload 
어카운트파일 : /var/account/pacct 
관련명령어 : /sbin/accton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sacct stop 
Shutting down process accounting: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sacct start 
Starting process accounting: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sacct restart 
Shutting down process accounting: [ OK ] 
Starting process accounting: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sacct status 
Process accounting is enabled. 
[root@command init.d]#  |   
 
  | 
| 
 67.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pxe  | 
  |    | 
| 
  pxe데몬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PXE(Preboot Execution Environment)서버는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PXE서버를 부팅하도록 합니다.  
사용옵션 : condrestart|start|stop|restart|reload|status 
데몬파일 : /usr/sbin/pxe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xe stop 
Stopping pxe: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xe start 
Starting pxe: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xe restart 
Stopping pxe: [ OK ] 
Starting pxe: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pxe status 
pxe (pid 4068) is running...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pxe 
root 4068 1 0 16:46 pts/0 00:00:00 /usr/sbin/pxe 
root 4083 2340 0 16:47 pts/0 00:00:00 grep pxe 
[root@command init.d]#  |   
  
 
  | 
| 
 68.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advd  | 
  |    | 
| 
  IPv6(IP Version 6) 라우트(router) 데몬인 radvd를 시작시키거나 종료시키는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reload|condrestart 
데몬파일 : /usr/sbin/radvd 
설정파일 
- /etc/radvd.conf 
- /etc/sysconfig/radvd 
PID파일 : /var/run/radvd.pid  
  
  | 
| 
 69.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andom  | 
  |    | 
| 
  리눅스 시스템에서의 난수사용을 위하여 난수발생데몬인 random을 시작시킵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reload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random start 
Initializing random number generator: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random stop 
Saving random seed: [ OK ] 
[root@command init.d]#  |   
  
  | 
| 
 70.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arpd  | 
  |    | 
| 
 
  rarpd데몬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RARPD(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RARP요청에 응답하는 데몬으로서 주로 디스크없이 네트워크 부팅을 하는 시스템(DISKLESS SYSTEM)에서 부팅시에 자신의 IP주소를 찾기위해 사용되는 데몬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condrestart|reload|status 
데몬파일 : /usr/sbin/rarpd 
  
  | 
| 
 71.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awdevices  | 
  |    | 
| 
  하드드라이브 파티션과 같은 블록장치에 rawdevice를 할당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잘아시는 Oracle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etc/sysconfig/rawdevices파일을 수정, 편집함으로써 rawdevice에 블록장치매핑과 할당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 
데몬파일 : /usr/bin/raw 
설정파일 : /etc/sysconfig/rawdevices 
  | 
| 
 72.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hnsd  | 
  |    | 
| 
  레드햇 리눅스 소프트웨어의 주기적인 업데이트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레드햇 네트워크 질의프로그램인 rhnsd 데몬의 시작과 종료료를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질의시간 간격을 조정하시려면 /etc/sysconfig/rhn/rhnsd파일의 “INTERVAL “값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condrestart|reload 
데몬파일 : /usr/sbin/rhnsd 
PID파일 : /var/run/rhnsd.pid 
시간각격 조절설정파일 : /etc/sysconfig/rhn/rhnsd 
  | 
| 
 73.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ipd  | 
  |    | 
| 
  RIP라우팅 데몬인 ripd데몬의 시작과 종료를 하는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reload|condrestart|status 
데몬파일 : /usr/sbin/ripd 
설정파일 : /etc/zebra/ripd.conf 
 
  | 
| 
 74.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ipngd  | 
  |    | 
| 
  Zebra와 IPv6 RIP라우팅 데몬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restart|reload|condrestart|status 
데몬파일 : /usr/sbin/ripngd 
설정파일 : /etc/zebra/ripngd.conf 
 
  | 
| 
 75. 데몬 스크립트 파일 : /etc/rc.d/init.d/routed  | 
  |    | 
| 
  RIP프로토콜을 통한 자동 IP라우팅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routed데몬을 시작(종료)하는 스크립트입니다. 다소 복잡한 프로토콜은 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반면 RIP프로토콜은 소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됩니다.  
사용옵션 : start|stop|status|restart|reload 
데몬파일 : /usr/sbin/routed 
설정파일  
- /etc/sysconfig/routed 
- /etc/gateways 
 스크립트 사용예 
|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routed stop 
Stopping routed (RIP) services: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routed start 
Starting routed (RIP) services: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etc/rc.d/init.d/routed restart 
Stopping routed (RIP) services: [ OK ] 
Starting routed (RIP) services: [ OK ] 
[root@command init.d]#  
[root@command init.d]# ps -ef | grep routed 
root 4560 1 0 18:14 ? 00:00:00 routed 
root 4564 2340 0 18:14 pts/0 00:00:00 grep routed 
[root@command init.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