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fsck실무8편: 파일시스템 점검과정에서 배드블록 마킹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0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e2fsck실무8편: 파일시스템 점검과정에서 배드블록 마킹하는 방법
e2fsck의 옵션에는 badblocks을 실행하여 배드블록을 찾은 후에 디스크의 배드블록 아이노드에 추가하여 마크함으로써 마크되어있는 배드블록을 사용하지 못하도록하는 방법이 있다.
e2fsck에서 -c옵션을 사용하면 badblocks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배드블록점검을 먼저 수행한다.
그런 다음 파일시스템을 체크하여 배드블록에 대해서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bad marking”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배드블록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도록하는 방법이다.
즉 e2fsck에서 -c 옵션을 사용하면 배드블록에 대해서 배드블록 표시가 가능하며 최소 1년에 2회 이상은 배드블록을 점검하여 배드블록이 존재할 경우에는 이를 마크하여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다음은 e2fsck를 이용하여 /dev/sdc1파일시스템 내에 배드블록이 있는가를 찾아서 만약 존재한다면 배드블록 아이노드에 마크하는 작업이다.
[root@RockyLinux01 ~]# e2fsck -j ext3 -cv /dev/sdc1 e2fsck 1.46.5 (30-Dec-2021) Checking for bad blocks (read-only test): done /dev/sdc1: Updating bad block inode. Pass 1: Checking inodes, blocks, and sizes Pass 2: Checking directory structure Pass 3: Checking directory connectivity Pass 4: Checking reference counts Pass 5: Checking group summary information
/dev/sdc1: ***** FILE SYSTEM WAS MODIFIED *****
11 inodes used (0.00%, out of 6553600) 0 non-contiguous files (0.0%) 0 non-contiguous directories (0.0%) # of inodes with ind/dind/tind blocks: 0/0/0 Extent depth histogram: 3 557848 blocks used (2.13%, out of 26214139) 0 bad blocks 1 large file
0 regular files 2 directories 0 character device files 0 block device files 0 fifos 0 links 0 symbolic links (0 fast symbolic links) 0 sockets ------------ 2 files [root@RockyLinux01 ~]# |
만약 위의 점검에서 배드블록을 찾아서 마크하게 된다면 이후부터는 배드마크된 위치의 블록에는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한다.
즉 배드블록위치에 데이터가 저장되지 못하도록 해서 배드블록의 ACCESS로 인한 디스크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이다.
하지만 상용서비스를 하는 서버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하드디스크에 배드블록이 존재한다면 가능한 배드블록이 없는 새 디스크로 교체하여 깨끗하게 사용하는 것이 배드마크를 하여 계속 사용하는 것 보다 안전할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