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fsck실무2편: 파일시스템의 점검 및 복구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79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e2fsck실무2편: 파일시스템의 점검 및 복구하는 방법
e2fsck로 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작업 중 한가지는 파일시스템에 이상이 있는가를 간단히 점검하는 것이다.
다음 예는 e2fsck를 이용하여 /dev/sdc1라는 파일시스템(장치 명)을 점검한 예이다.
[root@RockyLinux01 ~]# e2fsck /dev/sdc1 e2fsck 1.46.5 (30-Dec-2021) /dev/sdc1: clean, 11/6553600 files, 557848/26214139 blocks [root@RockyLinux01 ~]# |
e2fsck로 /dev/sdc1를 점검한 결과 위와 같이 별다른 메시지가 없다면 파일시스템에는 이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해당 장치(/dev/sdc1)가 마운트된 상태라면 mount 또는 df등의 명령어로 장치명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마운트되어있지 않은 파일시스템명들은 fdisk로 확인할 수 있다.
즉 “fdisk -l”을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의 모든 디스크의 파일시스템명(파티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
한가지 주의할 사항은 e2fsck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할 때에는 대상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만 실행하기 바란다.
만약 마운트되어있는 상태에서 이 명령어를 사용한다면 원하지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이번 예는 /dev/sdc1가 마운트된 상태에서 e2fsck를 수행하였는데 가능하다면 다음 예와 같이 마운트를 해제한 후에 e2fsck를 수행하기 바란다.
먼저 /dev/sdc1가 마운트된 위치(마운트포인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df -h”를 실행해 보았다.
확인 결과 /dev/sdc1는 /backup에 마운트가 되어있다.
참고로 “df -h” 대신 “mount”를 사용해도 마운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root@RockyLinux01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tmpfs 4.0M 0 4.0M 0% /dev tmpfs 974M 0 974M 0% /dev/shm tmpfs 390M 6.0M 384M 2% /run /dev/mapper/rl-root 37G 24G 14G 64% / /dev/sdb2 1014M 256M 759M 26% /boot /dev/sdb1 599M 9.4M 590M 2% /boot/efi tmpfs 195M 52K 195M 1% /run/user/42 tmpfs 195M 36K 195M 1% /run/user/0 /dev/sdc1 98G 24K 93G 1% /backup [root@RockyLinux01 ~]# |
이렇게 확인한 후에 /dev/sdc1 마운트를 해제한 다음 e2fsck를 다시 실행하였다.
[root@RockyLinux01 ~]# e2fsck /dev/sdc1 e2fsck 1.46.5 (30-Dec-2021) /dev/sdc1 is mounted. e2fsck: Cannot continue, aborting.
[root@RockyLinux01 ~]# [root@RockyLinux01 ~]# umount /backup [root@RockyLinux01 ~]# [root@RockyLinux01 ~]# e2fsck /dev/sdc1 e2fsck 1.46.5 (30-Dec-2021) /dev/sdc1: clean, 11/6553600 files, 557848/26214139 blocks [root@RockyLinux01 ~]# |
/dev/sdc1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한 후에 e2fsck를 수행한 결과를 잘 나타내고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