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실무9편: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USB 메모리스틱을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1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mount실무9편: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USB 메모리스틱을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이번에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윈도우시스템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던 USB 메모리스틱을 리눅스시스템에서 일시적으로 사용(읽고, 쓰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런 경우는 아주 흔한 예로써 여러분들도 한 개씩 가지고 있는 USB메모리스틱을 윈도우시스템에 있는 특정 파일을 윈도우탐색기에서 복사하여 이 파일을 리눅스시스템으로 복사하고자 하는 간단한 작업을 할 때에 매우 편리하다.
이번에도 설명을 쉽게하기 위하여 과정번호를 붙여서 설명하였다.
과정1 : 빈 USB슬랏에 USB메모리스틱 꽂기
여러분들이 윈도우시스템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던 USB메모리스틱을 리눅스시스템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리눅스시스템의 USB 슬랏에 메모리스틱을 꽂아야 한다.
그러면 다음 예와 같이 콘솔창에 USB장치를 인식하였다는 메시지가 뜨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USB장치가 /dev/sdc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과정2 : USB 메모리스틱 장치 확인하기
이제 fdisk로 인식된 장치를 확인한다.
다음 예를 보기 바란다.
[root@www ~]# fdisk -l
Disk /dev/sda: 5368 MB, 536870912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652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16 128488+ 83 Linux /dev/sda2 17 147 1052257+ 83 Linux /dev/sda3 148 212 522112+ 83 Linux /dev/sda4 213 652 3534300 5 Extended /dev/sda5 213 652 3534268+ 83 Linux
Disk /dev/sdb: 8589 MB, 85899345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044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 1 100 803218+ 83 Linux /dev/sdb2 101 500 3213000 81 Minix / old Linux /dev/sdb3 501 525 200812+ 83 Linux /dev/sdb4 526 1044 4168867+ 82 Linux swap / Solaris
Disk /dev/sdc: 1010 MB, 1010827264 bytes
32 heads, 61 sectors/track, 1011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952 * 512 = 999424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c1 1 1011 986705+ b W95 FAT32
[root@www ~]# |
위의 예에서 우리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USB 메모리스틱 장치가 리눅스시스템에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dev/sdc1 장치가 W95 FAT32 타입으로 포맷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바란다.
즉 윈도우시스템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윈도우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기 때문이다.
과정3 : 마운트하기
이제 이 USB 메모리스틱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마운트 작업을 하였다.
주의 할 것은 윈도우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던 것이므로 마운트 할 때에 -t옵션 다음에 vfat타입으로 파일시스템을 지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root@www ~]# mount -t vfat /dev/sdc1 /usb [root@www ~]# [root@www ~]# mount /dev/sda5 on / type ext3 (rw) proc on /proc type proc (rw) sysfs on /sys type sysfs (rw)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dev/sda3 on /backup type ext3 (rw) /dev/sda1 on /boot type ext3 (rw) tmpfs on /dev/shm type tmpfs (rw) /dev/sda2 on /home type ext3 (rw) none on /proc/sys/fs/binfmt_misc type binfmt_misc (rw) /proc on /var/named/chroot/proc type none (rw,bind) /var/run/dbus on /var/named/chroot/var/run/dbus type none (rw,bind) sunrpc on /var/lib/nfs/rpc_pipefs type rpc_pipefs (rw) /dev/sdc1 on /usb type vfat (rw)
[root@www ~]# |
이제 mount를 실행하여 확인해 본다면 /usb로 USB 메모리스틱이 vfat타입으로 마운트가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 메모리스틱을 마음대로 읽고, 쓸 수 있다.
과정4. USB 메모리스틱 마음대로 사용하기
먼저, 윈도우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던 USB메모리 스틱의 내용을 리눅스시스템으로 복사해 보도록 하겠다.
다음 예를 보기 바란다.
[root@www ~]# cd /usb [root@www usb]# [root@www usb]# ls -l 합계 432 -rwxr-xr-x 1 root root 40850 7월 11 12:13 kb924667.log -rwxr-xr-x 1 root root 188 7월 8 12:24 log.log -rwxr-xr-x 1 root root 152 11월 3 17:00 mkd20.log -rwxr-xr-x 1 root root 181159 11월 19 03:00 netfxocm.log -rwxr-xr-x 1 root root 67584 4월 14 2008 notepad.exe -rwxr-xr-x 1 root root 137216 4월 14 2008 regedit.exe [root@www usb]# [root@www usb]# cp regedit.exe /tmp/ [root@www usb]# [root@www usb]# ls -l /tmp/regedit.exe -rwxr-xr-x 1 root root 137216 11월 30 19:45 /tmp/regedit.exe [root@www usb]# |
/usb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윈도우시스템에서 사용하던 파일들이 그대로 보인다.
이 파일들 가운데 regedit.exe파일 하나를 /tmp 디렉토리로 복사하였다.
그리고 복사된 파일을 리눅스시스템에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윈도우시스템에서 사용하던 파일을 리눅스시스템에서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에는 리눅스 시스템의 특정 내용(파일 또는 디렉토리)을 윈도우시스템에서 사용하던USB 메모리스틱으로 옮겨보겠다.
다음 예를 보기 바란다.
[root@www usb]# cp /etc/fstab /usb/ [root@www usb]# [root@www usb]# ls -l 합계 436 -rwxr-xr-x 1 root root 608 11월 30 19:46 fstab
-rwxr-xr-x 1 root root 40850 7월 11 12:13 kb924667.log -rwxr-xr-x 1 root root 188 7월 8 12:24 log.log -rwxr-xr-x 1 root root 152 11월 3 17:00 mkd20.log -rwxr-xr-x 1 root root 181159 11월 19 03:00 netfxocm.log -rwxr-xr-x 1 root root 67584 4월 14 2008 notepad.exe -rwxr-xr-x 1 root root 137216 4월 14 2008 regedit.exe [root@www usb]#
|
위의 예는 /etc/fstab이라는 리눅스시스템의 특정 파일을 /usb로 복사한 예이다.
그리고 /usb에서 복사된 내용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복사된 파일을 다시 윈도우시스템으로 가져가서 읽어보면 그대로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mount에 대한 거의 모든 마운트방법들에 대해서 배워보았다.
이제 보다 더 많은 활용방법들을 터득해서 유능한 리눅스 시스템관리자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