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mount실무5편: 마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 타입들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mount실무5: 마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 타입들

 

 

 

 

 

mount명령어로 여러가지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마운트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mount를 할 때에 파일시스템 타입을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하면 된다.

 

사용형식 : mount -t 파일시스템타입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t다음에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지정하면 된다.

 

 

 

현재 mount명령어에서 지정 가능한 파일시스템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ext3, ext2, ext, adfs, affs, autofs,  cifs,  coda, coherent, cramfs, debugfs, devpts, efs, hfs, hfsplus, hpfs, iso9660, jfs, minix, msdos, ncpfs, nfs,  nfs4, ntfs,  proc, qnx4, ramfs, reiserfs, romfs, smbfs, sysv, tmpfs, udf, ufs,             umsdos, usbfs, vfat, xenix, xfs, xiafs.

 

 

 

 

위의 파일시스템타입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눅스에서 mount명령어로 파일시스템타입으로 지정하여 마운트가능한 파일시스템의 종류들이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별로 마운트하는 방법들을 다음 예부터 차례대로 설명하였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mount실무6: ext3 타입, ext2타입으로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이번 예는 ext3파일시스템으로 /dev/sdb1 /backup에 마운트 시킨 예이다.

 

 

 

마운트를 시킨 이후에 mount라는 명령어로 마운트된 내용을 확인하였다.

 

 

 

 mount의 결과 맨 마지막 행에 보면 “/dev/sdb1 on /backup type ext3 (rw)”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backup ext3로 마운트된 /dev/sdb1의 정보이다.

 

 

 

 

 

[root@su249 ~]# mount -t ext3 /dev/sdb1 /backup

[root@su249 ~]#

[root@su249 ~]# mount

/dev/sda3 on / type ext3 (rw)

proc on /proc type proc (rw)

sysfs on /sys type sysfs (rw)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dev/sda1 on /boot type ext3 (rw)

tmpfs on /dev/shm type tmpfs (rw)

none on /proc/sys/fs/binfmt_misc type binfmt_misc (rw)

sunrpc on /var/lib/nfs/rpc_pipefs type rpc_pipefs (rw)

fusectl on /sys/fs/fuse/connections type fusectl (rw)

/dev/sdb1 on /backup type ext3 (rw)

[root@su249 ~]#

 

 

 

 

현재 리눅스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이 ext3이므로 mkfs mkfs.ext3등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 및 포맷작업을 옵션없이 생성하였을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ext3타입으로 포맷된다.

 

 

 

따라서 ext3로 생성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려면 -t ext3라는 옵션이 없어도 ext3로 마운트가 된다.

 

 

 

아래는 -t ext3옵션없이 마운트를 한 예로서 ext3타입으로 마운트된 예이다.

 

 

 

 

 

[root@su249 ~]# mount /dev/sdb1 /backup

[root@su249 ~]#

[root@su249 ~]# mount

/dev/sda3 on / type ext3 (rw)

proc on /proc type proc (rw)

sysfs on /sys type sysfs (rw)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dev/sda1 on /boot type ext3 (rw)

tmpfs on /dev/shm type tmpfs (rw)

none on /proc/sys/fs/binfmt_misc type binfmt_misc (rw)

sunrpc on /var/lib/nfs/rpc_pipefs type rpc_pipefs (rw)

fusectl on /sys/fs/fuse/connections type fusectl (rw)

/dev/sdb2 on /ftp_data type ext2 (rw)

/dev/sdb1 on /backup type ext3 (rw)

[root@su249 ~]#

 

 

 

mount로 확인한 결과 중 맨 마지막의 결과인 “/dev/sdb1 on /backup type ext3 (rw)”의 결과가 위에서 mount한 결과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ext3로 포맷된 파일시스템은 -t ext3라는 옵션없이 mount시켜도 기본값으로ext3로 마운트가 된다는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ext3 ext4든 원하는 파일시스템타입으로 마운트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 한가지 명심할 것은 파일시스템이 생성될 때 즉 포맷될 때 어떤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포맷되었는가에 따라서 마운트할 때의 파일시스템 타입이 결정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63 명
  • 현재 강좌수 :  35,955 개
  • 현재 접속자 :  183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