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운트강좌 mount 2편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844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 마운트강좌 mount 2편
---------------- 목 차 -----------------------
1 : 마운트(mount)란 무엇을 의미하며 왜 사용하는가? 그, 실질적인 의미
2 : 리눅스에 장착된 CD-ROM데이터 사용하기 실무
3 : 실제로 마운트하지 않고 마운트 가능여부만을 확인하기
4 : 특정 파일시스템을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하기(쓰기금지 마운트)
5 : 읽기,쓰기 가능하도록 마운트하기
6 : 현재 마운트된 정보 자세히 살펴보기
7 : 다양한 파일시스템 유형에 맞는 여러가지 마운트 방법
8 : ext3 타입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9 : ext2 타입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10 : iso9660파일시스템 타입으로 마운트하기
11 : vfat 윈도우파일시스템 마운트하여 윈도우디스크 사용하기
12 : MSDO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된 디스켓을 마운트하여 사용하는 방법
13 : 원격서버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여 사용하기(NFS 마운트하는 방법)
|
ㅇ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xml:namespace prefix = st2 ns = "urn:schemas:contacts" />박성수
ㅇ 본강좌의 자세한 정보 : http://www.superuser.co.kr/linuxcommandbible/ |
3 : 실제로 마운트하지 않고 마운트 가능여부만을 확인하기
mount명령어로 특정 장치의 마운트가 가능한가를 확인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즉, mount명령어에 -f옵션을 사용하시면 마운트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에서 mount명령어의 사용형식은 -f옵션을 사용한다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과 동일합니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
4 : 특정 파일시스템을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하기(쓰기금지 마운트)
다음은 mount명령어로 특정장치를 마운트시에 마운트된 후에 쓰지(write)못하도록 할 수가 있습니다. 즉, mount명령어를 사용하여 마운트를 할 때에 -r옵션(Read Only)을 사용하면 마운트하였다면 그 장치는 쓰기(write)가 금지됩니다.
아래의 예는 /dev/hdb파일시스템을 /backup 디렉토리로 마운트를 하면서 -r옵션을 사용하여 쓰기 금지옵션을 사용하여 마운트한 것입니다.
즉, 위와 같이 마운트 된 후에 /backup디렉토리는 읽기만 가능하며 쓰기는 금지됩니다.
아래의 예는 -r옵션으로 마운트된 /backup디렉토리에 파일을 복사하여 쓰기를 하였으나 보시는 바와 같이 “Read-only file system”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쓰기실패를 하였습니다
눈치 빠르신 분들이라면 이미 “아~하!”라고 느낄 수 있었겠지만 이번 예와 같이 “Read Only”모드, 즉 쓰기금지모드로 마운트를 하게 되면 비록 쓰기는 금지되지만 파일시스템내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목적에는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읽기만 해도 되는 파일시스템, 예를들어 파일다운로드서비스만 하는 파티션 같은 경우에는 읽기만을 제공하여 서버보안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서버보안에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습니다.
5 : 읽기,쓰기 가능하도록 마운트하기
이번에는 앞의 예와 다르게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즉, 다음은 mount명령어로 특정장치를 마운트할 때에 마운트된 후에 읽기(read), 쓰기(write)를 모두 할 수 있도록 마운트한 예입니다.
위의 예는 /dev/hdb파티션을 /backup 디렉토리로 마운트를 하면서 -w옵션을 사용하여 쓰기가 가능하도록 마운트한 것입니다.
위의 예와 같이 마운트된 /backup디렉토리에 file1이라는 파일을 복사하여 저장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6 : 현재 마운트된 정보 자세히 살펴보기
앞의 예에서 간단히 언급하였던 마운트정보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시스템에서 현재 마운트되어있는 정보를 자세히 확인하려면 mount명령어에 -v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예는 현재 시스템에 마운트된 정보를 자세히 확인한 것입니다.
-v옵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위의 결과와 동일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분명히 아셔야하는 것은 mount -v의 결과는 /etc/mtab파일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즉, 현재 마운트되어있는 정보들이 /etc/mtab파일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파일을 확인해 보시면 mount -v와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는 /etc/mtab파일의 내용을 확인한 것으로 위의 mount -v의 결과와 비교해 보시면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 : 다양한 파일시스템 유형에 맞는 여러가지 마운트 방법
mount명령어로 여러가지 파일시스템 타입으로 마운트를 시켜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ount를 할 때에 파일시스템 타입을 지정하시려면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용형식 : mount -t 파일시스템타입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즉, -t다음에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현재 mount명령어에서 지정 가능한 파일시스템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adfs, affs, autofs, coda, coherent, cramfs, devpts, efs, ext, ext2, ext3, hfs, hpfs, iso9660, jfs, minix, msdos, ncpfs, nfs, ntfs, proc, qnx4, ramfs, reiserfs, romfs, smbfs, sysv, tmpfs, udf, ufs, umsdos, vfat, xenix, xfs, xiafs |
위의 파일시스템타입들을 모두 사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리눅스에서 mount명령어로 파일시스템타입으로 지정하여 마운트가능한 파일시스템의 종류들입니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별로 마운트하는 방법들을 다음 예부터 차례대로 설명하였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 ext3 타입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이번 예는 ext3파일시스템으로 /dev/hdb를 /backup에 마운트 시킨 예입니다. 마운트를 시킨 이후에 mount라는 명령어로 마운트된 내용을 확인하였습니다. mount의 결과 맨 마지막행에 보시면 “/dev/hdb on /backup type ext3 (rw)”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이 /backup에 ext3로 마운트된 /dev/hdb의 정보입니다.
현재 리눅스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이 ext3이므로 mkfs나 mkfs.ext3등으로 파일시스템을 생성 및 포맷작업을 옵션없이 생성하였을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ext3타입으로 포맷 됩니다. 이에 대한 예는 이 책의 mkfs 또는 mke2fs명령어편에 잘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ext3로 생성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려면 -t ext3라는 옵션이 없어도 ext3로 마운트가 됩니다. 아래는 -t ext3옵션없이 마운트를 한 예로서 ext3타입으로 마운트가 된 예입니다.
mount로 확인한 결과 중 맨 마지막의 결과인 “/dev/hdb on /backup type ext3 (rw)”의 결과가 위에서 mount한 결과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ext3로 포맷된 파일시스템은 -t ext3라는 옵션없이 mount를 시켜도 기본값으로ext3로 마운트가 된다는 사실입니다.
9 : ext2 타입의 파일시스템 마운트하기
이번에는 ext2리눅스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예는 ext2파일시스템으로 /dev/hdb를 /backup에 마운트 시킨 예입니다. 마운트를 시킨 이후에 mount라는 명령어로 마운트 결과를 확인한 것으로 mount의 결과 중 맨 마지막행이 ext2로 마운트시킨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행의 내용을 보시면 ext2로 /dev/hdb가 /backup에 마운트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
ㅇ 제작자 : 리눅스포털(www.superuser.co.kr) 수퍼유저코리아 박성수
ㅇ 본강좌의 자세한 정보 : http://www.superuser.co.kr/linuxcommandbible/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