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U 유틸리티 활용법 -2-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7,96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SSU 유틸리티 활용법 -2- | ||
작성자 : (주)수퍼유저코리아, http://www.superuser.co.kr 서버팀 | ||
| ||
SSU의 초기화는 SULinux 설치 후 자동 실행되어 초기화되므로 별다른 설정을 하실 필요가 없지만 사용자가 직접 초기화를 원하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 주의 : vi 명령어가 익숙하지 않으면, 몇 가지 기본기능을 습득하신 후에 사용 바란다. | ||
| ||
[ 설명 ] - 시스템 체크에 필요한 자료들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이다. - 초기에는 꼭 한번 실행시켜 줘야 한다. - SULinux는 설치와 동시에 --all 옵션을 주어 자동 초기화 된다.
[ 실행 방법 ]
APM_Install-tools로 APM를 설치하신후 SSU초기화 작업을 다시 한번 실행하면
[설명] | ||
| ||
[ 실행 방법 ] 2) 계정 삭제
[예제1] - 사용자 추가 [root@SULinux root] su_usersetup --add home testman password testman.co.kr [설명] ※ 홈디렉토리란 생성한 사용자의 작업공간이 지정된 디렉토리이다. (예를 들면 /home/testman) | ||
| ||
실행명령어 : su_dbuser ※ 주의 [ 실행 방법 ] 2)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3) 사용자 및 DB 삭제
[예제1] - MySQL 사용자 추가방법 [예제2] - MySQL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예제3] - MySQL 사용자 및 DB 삭제
| ||
| ||
실행명령어 : su_mailuser [ 실행 방법 ] 1) 메일 사용자 추가 2) 메일 가상 사용자 추가 (포워딩) 하나의 가상메일 계정으로 여러명의 실제 존재 메일계정으로 받을수 있지만 이는 본 문서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www.superuser.co.kr을 참고하시기바란다. /root/bin/su_mailuser --addforward 도메인 계정명 포워딩계정또는메일주소 ※ 주의 3) 메일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 ※ 주의반드시 메일 사용자 추가가 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사용 해 주십시오. /root/bin/su_mailuser --mod 계정명 비밀번호 4) 메일 사용자 삭제 5) 메일 사용자 목록 보기
[예제1] [예제2] [예제3] [예제4] [예제5]
| ||
| ||
실행명령어 : su_domain [ 실행 방법 ] 1) 추가 2) 변경
[예제1] [설명] ※ 참고 :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위 두가지 확인을 하셔야한다. 확인1) [root@ns root]# cat /etc/named.conf 확인2) [root@ns root]# cat /var/named/domain.co.kr.zone 설명1) 설명2) $TTL 86400 @ IN SOA ns.superuser.co.kr. root.superuser.co.kr. ( 20040909 ; 시리얼값 (년월일시간)으로 대부분 셋팅 3H ;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에 접속하는 시간 15M ; 접속 실패시 다시 시도할 시간 간격 1W ;1차 네임서버에서 데이터가 없다면 1주 이후에 지워진다. 1D ) ; 위에서 설정한 TTL 값과 같은 의미 ; IN NS ns.superuser.co.kr. ; 도메인을 소유한 DNS의 도메인 IN MX 10 mail.domain.co.kr. ; 메일을 보낼 도메인 또는 주소 IN A 123.123.123.123 ; 도메인이 찾아갈 IP 주소 www IN A 123.123.123.123 ; www.도메인이 찾아갈 IP주소 mail IN A 123.123.123.123 ; 메일서버 아이피 * IN A 123.123.123.123 : 모든 서브 도메인이 찾아갈 서버ip주소 만약 /var/named/domain.co.kr.zone 파일이 존재하지 안거나 또는 위의 문장이 추가되지 않았다면 다시 한번 su_domain명령어를 실행해주시기 바란다. [예제2] 화면이 바뀌며 'zone "domain.co.kr" IN {type master; file "domain.co.kr.zone"; allow-update { none; }; };'라는 곳에 커스가 위치해있다면 키보드의 'd'키를 두 번 눌러준다('dd'). 그리고 키보드의 'Esc'를 한번 누르시고, ':wq"를 입력하시고 키보드의 'Enter'키를 눌러주시면 작업은 완료된다. [설명]
| ||
| ||
[ 설명 ] 사용명령어 : su_vhost [ 실행 방법 ] ① 가상 도메인 추가 /root/bin/su_vhost --add 가상WebRoot 도메인 ※ 주의 도메인 부분에 www.domain.co.kr로 등록하면 www.domain.co.kr과 www.www.domain.co.kr이 등록되므로 www는 반드시 빼고 설정해주십시오. ② 가상 도메인 정보 변경 /root/bin/su_vhost --mod 도메인 mod옵셥을 사용하면 수정하고자하는 도메인의 문장을 vi로 열리게 된다. 커스를 수정하고자하는 도메인의 철자로 옮기시고 키보드의 'x'키를 눌러 문자를 삭제해주시고, 키보드의 'i'키를 눌러 입력하고자하는 도메인을 입력해주십시오. 입력이 끝나면 키보드의 'Esc'는 한번 누르고 ':wq'를 입력후 'Enter'키를 눌러 완료 해주시면 된다. ③ 가상 도메인 삭제 ※ 주의vi 명령어 익숙하지 않으시면 사용을 자제해주십시오. /root/bin/su_vhost --del 도메인 ④ 도메인 포워딩 [ 설정 파일 ] - apache_conf_dir : 아파치 설정파일(httpd.conf)파일이 있는 위치 - apache_bin_dir : 아파치 실행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예제1] [예제2] [설명] 커스를 수정하고자하는 도메인의 철자로 옮기시고 키보드의 'x'키를 눌러 문자를 삭제해주시고, 키보드의 'i'키를 눌러 입력하고자하는 도메인을 입력해주십시오. 입력이 끝나면 키보드의 'Esc'는 한번 누르고 ':wq'를 입력후 'Enter'키를 눌러 완료해주시면된다. [예제3] [설명] [예제4] [설명] | ||
| ||
실행명령어 : su_backup [ 실행 방법 ] ② 원격 백업
| ||
| ||
실행명령어 : su_traffic [ 실행 방법 ] [예제] [root@SULinux root]# su_traffic eth0 text 1 날짜 입력 출력 003-21 0:13 : 169 KBit/Sec 6628 KBit/Sec 003-21 0:13 : 162 KBit/Sec 5713 KBit/Sec 003-21 0:13 : 142 KBit/Sec 6027 KBit/Sec 003-21 0:13 : 135 KBit/Sec 5549 KBit/Sec 003-21 0:13 : 123 KBit/Sec 5503 KBit/Sec | ||
| ||
시스템 점검은 주기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므로 cron의 도움을 받아 진행된다. SULinux설치와 동시에 cron을 자동설정하게 되며 기본설정은 다음과 같다. [변경방법] [설명]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십시오.(시간 수정 가능한다.) 00 03 * * * su - root -c '/root/bin/su_backup --local' >& /dev/null 00 07 * * * su - root -c '/root/bin/system_check' >& /dev/null */5 * * * * su - root -c '/root/bin/system_test >& /dev/null' [설명]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