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션작업과 파일시스템 생성, 관리 및 복구
작성자 정보
- 웹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53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파티션작업과 파일시스템 생성, 관리 및 복구 | ||||||||||
작성자 : (주)수퍼유저코리아, http://www.superuser.co.kr 서버팀 | ||||||||||
| ||||||||||
3. 파일시스템 생성(포맷작업): mke2fs (mkfs, mkfs.ext2, mkfs.ext3, mkfs.msdos, mkfs.vfat) 4. 마운트작업 : mount, umount 5. 파일시스템 점검과 복구 : e2fsck (fsck, fsck.ext2, fsck.ext3, fsck.msdos, fsck.vfat) ㅇ 새디스크 실제 사용을 위한 작업순서 - 1. 물리적인 장착 -> 2. 파티션작업(fdisk) -> 3. 파일시스템생성(포맷)작업(mke2fs) -> 4. 마운트작업(mount) -> 5. 파일시스템테이블파일에 등록(/etc/fstab) -> 6. 주기적인 체크 및 점검(e2fsck) | ||||||||||
| ||||||||||
| ||||||||||
| ||||||||||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생성하고, 설정된 파티션을 변경하고, 파티션을 삭제할 수 있는 도구 ㅇ 파티션 정보 확인하기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설정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MBR (파티션섹터, 마스트파티션, 첫번째 섹터) ㅇ fdisk 의 시작과 종료, 명령어(도움말) 확인하기 - fdisk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fdisk전용 명령어 ㅇ 파티션 작업하기 실제 예 - 파티션설정작업
| ||||||||||
| ||||||||||
ㅇ 현재 디스크 파티션 정보 확인 ㅇ 파일시스템 생성 작업 - ext2타입의 파일시스템 생성 : mke2fs ?T ext2 /dev/sda1 - 블록크기를 지정하여 새로운 파일시스템 생성하기 - 파일시스템 생성시에 배드블록 점검하기 : mke2fs -c /dev/sda1 - 파일시스템 생성시 inode당 바이트수를 지정하여 포맷하기 - 파일시스템 생성시 예비블록 프센티지 지정하여 포맷하기 mke2fs -j -m 10 /dev/sda1 주의) 기본은 5% - 파일시스템 생성시 레이블 주기 : -L 옵션 | ||||||||||
| ||||||||||
ㅇ 현재 마운트 정보 확인하기 ㅇ 마운트 작업하기 : mount, umount ㅇ NFS로 마운트하기(원격네트워크 파일시스템사용하기) ㅇ 부팅시 자동마운트 설정 : /etc/fstab (파일시스템 테이블 파일) | ||||||||||
| ||||||||||
ㅇ 주의사항 ㅇ e2fsck로 파일시스템 점검시에.점검하는 항목 ㅇ 파일시스템 점검 및 복구작업하기 ㅇ 백업수퍼블록을 이용한 파일시스템 복구 - 형식 : e2fsck ?b 백업수퍼블록번호 장치명 ㅇ 요구되는 사전지식 . Primary superblock이 망가져서 복구가 안될때에 백업수퍼블록을 사용하여 복구함. 만약 블록사이즈가 4096(4k)이라면 백업수퍼블록은 32768블록에 존재한다. . 백업수퍼블록이 정확하게 지정하여 e2fsck를 실행하면 e2fsck는 파일시스템의 체크를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