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netstat으로 확인하는 서버 라우팅테이블 점검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netstat으로 확인하는 서버 라우팅테이블 점검

 

 

 

 

 

netstat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사용 예부터 보겠습니다.

 

 

 

 , 현재 시스템이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할 때에는 -rn옵션을 사용하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실제로 인터넷서비스를 하고 있는 서버의 라우팅테이블 확인 예입니다.

 

 

 

 

 

[root@su250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92.168.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0

0.0.0.0         192.168.0.1     0.0.0.0         UG        0 0          0 eth0

[root@su250 ~]#

 

 

 

 

여기서 중요한 것은 "netstat -rn"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아니라 "netstat -rn"의 출력 결과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위의 결과로 나온 이 시스템의 라우팅테이블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시스템이 사용하는 기본게이트웨이는 192.168.0.1이며,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0이고, 인터페이스는 eth0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간단히 표현해 보자면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들은 eth0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설정된 기본게이트웨이인 192.168.0.1로 보내지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말씀 드리자면 데이터를 보내기 위하여 SubnetMask와의 AND연산을 통하여 Destination을 결정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보내게 됩니다.

 

 

 

 


이 라우팅테이블은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자기 자신에게 보내어지는 데이터는 "lo"라는 인터페이스로 보내고(, 자기자신에게 보냄)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들은 모두 eth0를 통하여 192.168.0.1로 보내게 됩니다.

 

 

 

 그리고 192.168.0.1로 보내어진 데이터들은 192.168.0.1의 라우팅테이블에 의해서 다시 다른 네트워크로 보내지게 됩니다.

 

 

 

 

 

그리고 참고로 route라는 명령어를 옵션 없이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방금 설명드린 “netstat -rn”명령어의 수행결과처럼 현재 이 시스템의  라우팅테이블을 출력해 줍니다.

 

 

 

 

 

[root@su250 ~]# route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0.0     *               255.255.255.0   U     1      0        0 eth0

default         192.168.0.1     0.0.0.0         UG    0      0        0 eth0

[root@su250 ~]#

 

 

 

 

라우팅테이블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nestat -rn” 이라기 보다는 route명령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63 명
  • 현재 강좌수 :  35,955 개
  • 현재 접속자 :  194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