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ne2fs실무2편: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 정보 확인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2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tune2fs실무2편: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 정보 확인하기
첫번째 tune2fs의 예로서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리눅스 시스템관리자가 수퍼블록을 모르고서 시스템관리를 한다는 것은 말이되지 않는다.
파일시스템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하여 파일시스템을 튜닝하려면 수퍼블록(superblock)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 예는 tune2fs의 가장 간단한 사용법으로서 /dev/sdc1의 수퍼블록의 여러가지 파라미터값들을 확인한 것이다.
즉 수퍼블록의 값들을 변경하기 위하여 그 내용을 확인한 것이다.
[root@RockyLinux01 ~]# tune2fs -l /dev/sdc1 tune2fs 1.46.5 (30-Dec-2021) Filesystem volume name: <none> Last mounted on: <not available> Filesystem UUID: 37b4a747-585d-4c1e-be69-b7a5f82d2b07 Filesystem magic number: 0xEF53 Filesystem revision #: 1 (dynamic) Filesystem features: has_journal ext_attr resize_inode dir_index filetype extent 64bit flex_bg sparse_super large_file huge_file dir_nlink extra_isize metadata_csum Filesystem flags: signed_directory_hash Default mount options: user_xattr acl Filesystem state: clean Errors behavior: Continue Filesystem OS type: Linux Inode count: 6553600 Block count: 26214139 Reserved block count: 1310706 Overhead clusters: 557842 Free blocks: 25656291 Free inodes: 6553589 First block: 0 Block size: 4096 Fragment size: 4096 Group descriptor size: 64 Reserved GDT blocks: 1024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32768 Inodes per group: 8192 Inode blocks per group: 512 Flex block group size: 16 Filesystem created: Mon Jun 26 15:33:47 2023 Last mount time: n/a Last write time: Mon Jun 26 15:33:47 2023 Mount count: 0 Maximum mount count: -1 Last checked: Mon Jun 26 15:33:47 2023 Check interval: 0 (<none>) Lifetime writes: 4332 kB Reserved blocks uid: 0 (user root) Reserved blocks gid: 0 (group root) First inode: 11 Inode size: 256 Required extra isize: 32 Desired extra isize: 32 Journal inode: 8 Default directory hash: half_md4 Directory Hash Seed: b2b4f9af-e5b1-4bfa-99c9-1bb66e0feeb6 Journal backup: inode blocks Checksum type: crc32c Checksum: 0x545a50f3 [root@RockyLinux01 ~]# |
위의 수퍼블록정보확인 결과에서 수퍼블록의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값들만을 몇 개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 파일시스템 레이블(Filesystem volume name) : 현재 없음.
. 예약된 블록 개수(Reserved block count) : 1310706
. 최대 마운트 횟수(Maximum mount count) : -1(무제한)
. 예약된 블록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Reserved blocks uid) : 0 (user root)
. 예비블록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그룹(Reserved blocks gid) : 0 (group root)
. 각 점검 간의 간격(Check interval) : 0 <none>
참고로 이번 예에서 볼 수 있는 수퍼블록의 내용들은 dumpe2fs명령어로도 (특히 -h옵션사용으로) 거의 유사한 내용을 볼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