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
클라우드/리눅스에 관한 강좌입니다.
리눅스 분류

특정 도메인 또는 IP의 사용기관 정보 조회하는 whois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특정 도메인 또는 IP의 사용기관 정보 조회하는 whois 개론

 

 

 

 

 

 

whois(또는 jwhois)는 특정 도메인의 등록정보를 검색하거나 특정 IP주소의 사용기관정보를 특정 whois서버에서 검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등록정보 검색도구입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사용기관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입니다.

 

 

 

 , whois는특정 도메인의 등록정보를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확인하기를 원하는 Domain이나 IP 혹은 네트워크의 사용기관정보나 연락처 및 내역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 웹이나 리눅스 명령어쉘 상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whois명령어는 jwhois명령어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 whois명령어가 jwhois로 링크되어 있음을 아래와 같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root@www ~]# ls -l /usr/bin/jwhois

-rwxr-xr-x 1 root root 66788 2008-10-1323:52 /usr/bin/jwhois

[root@www ~]#

[root@www ~]# ls -l /usr/bin/whois

lrwxrwxrwx 1 root root 6 2008-12-0121:52 /usr/bin/whois -> jwhois

[root@www ~]#

 

 

 

 

 

따라서 whois명령어를 사용하더라도 jwhois가 사용이 됩니다.

 

 

 

  그냥 구분 없이 whois를 사용하시든, jwhois를 사용하시든 원하시는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 사용형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jwhois를 이용할 때에는 두가지를 지정하게 됩니다.

 

 

 

 , 우리가 jwhois를 이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떤 whois서버에 어떤 도메인을 검색할 것인가?”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whois서버라는 것과 어떤 도메인이라는 것을 직접 지정해 주어야 하는데 어떤 도메인이라는 것은 우리가 알고자 하는 도메인이므로 그 도메인 이름을 지정하면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whois 서버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whois서버라는 것은 인터넷등록기관에서 운영하는 인터넷등록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입니다.

 

 

 

 우리나라 도메인(흔히 국내도메인이라고함)에 해당되는 도메인정보를 제공하는 whois서버는 “whois.krnic.net”이고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인터넷도메인정보를 제공하는 whois서버는 “whois.apnic.net”이고, 미국에 있는 국제도메인의 등록정보를 제공하는 whois서버는 “whois.internic.net(또는 whois.networksolutions.com)”입니다.

 

 

 

 이외에도 북미 지역 인터넷주소자원을 관리하는 ARIN이라는 기관에서 제공하는 whois서버인 whois.arin.net이라는 것도 있습니다.

 

 

 

 대략 알려진 whois정보제공 각 기관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표에서 whois서버주소를 잘 봐두시기 바랍니다.

 

 

 

 

 

 

기관약어

     

 

KRNIC

. 역할: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국내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

. 홈페이지: http://www.krnic.net

. WHOIS서버: http://whois.krnic.net

 

 

APNIC

. 역할: 아ㆍ태지역(아시아,호주,오세아니아 등) 인터넷주소자원 관리 기관KRNIC 또한 APNIC에 속함.

. 영문: Asia Pacific Network Information Cenre

. 홈페이지: http://www.apnic.net

. WHOIS서버: http://whois.apnic.net

 

ARIN

. 역할: 북미 지역(미국,캐나다 등) 인터넷주소자원 관리 기관

. 영문: American Registry for Internet Numbers

. 홈페이지: http://www.arin.net

. WHOIS서버: http://whois.arin.net

 

RIPE

. 역할: 유럽,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IP자원관리 기관

. 영문: Reseaux IP Europeens Network Coordination Centre

. 홈페이지: http://www.ripe.net

. WHOIS서버: http://whois.ripe.net

 

LACNIC

. 역할: 남미국가, 캐리비안지역의 IP자원관리 기관

. 영문: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IP address Regional Registry

. 홈페이지: http://www.lacnic.org

. WHOIS서버: http://whois.lacnic.net

 

AfriNIC

. 역할: 아프리카지역의 IP를 관리하는 기관

. 영문: African Network Information Center

. 홈페이지: http://www.afrinic.net

. WHOIS서버: whois.afrinic.net

 

 

 

 

, 우리는 jwhois의 파워풀한 활용과 정보검색을 위해서는 이러한 whois서버를 많이 알고 있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방금 소개한 3개정도만 알고 있어도 웬만한 도메인 등록정보는 모두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jwhois라는 도구는 특정 whois서버에게 특정 도메인의 등록정보를 검색하는 도구입니다.

 

 

 

 

 

다음 사용 예를 보시면 정확한 용도를 아실 수 있습니다.

 

 

 

 

 

명령어위치 : /usr/bin/whois

 

사용형식   : jwhois  [ OPTIONS ]...  [ QUERY ]

 

다음은 가장 일반적인 사용형식입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IP(도메인,네트워크기관) 정보조회

 

 


-
리눅스 쉘          : whois -h whois.krnic.net 대상도메인(또는 IP Address)

 

 

- 웹에서의 조회 URL  : http://whois.nic.or.kr



 

 

 

 

 

국외에서 사용하는 IP(도메인,네트워크기관) 정보조회

 

 


-
리눅스 쉘         : whois -h whois.internic.net 대상도메인(또는 IP Address)

 

 

- 웹에서의 조회 URL : http://www.netsol.com/cgi-bin/whois/whois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뉴스광장


  • 현재 회원수 :  60,056 명
  • 현재 강좌수 :  35,908 개
  • 현재 접속자 :  192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