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Private DNS 이용 방법 (G1, G2 플랫폼)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60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Name Server 관리
1. Private DNS Name Server 생성 신청
ㅇ Name Server > 'Name Server 생성' 버튼 클릭


- - 이름: DNS Name Server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 위치: Name Server를 설치할 클라우드 가용성 존을 선택합니다.
- - 서버 사양: 원하는 사양을 선택합니다.
- - Public Access: 외부 접속을 위한 공인 IP 할당 여부를 선택합니다. Yes 선택 시 공인 IP가 할당 되어 공인 IP에 대한 비용이 청구됩니다.
- - Type: Name Server를 Single로 구성할지 Master-Slave구조로 구성할지 선택합니다.
- - Name Server 수: Master-Slave 구조는 최대 5개의 Name Server를 지원합니다.
- - 요금제: 원하는 요금제를 선택합니다.
2. Name Server 생성 확인
ㅇ 신청한 Name Server의 상태가 '사용'일 시 Private DNS 서비스 이용 가능합니다.

3. Name Server 상세 정보 확인
ㅇ Name Server > 네임 서버 List에서 특정 네임 서버 선택 > ... (숨김메뉴) > '상세 정보' 버튼 클릭

ㅇ 네임 서버의 이름, 서비스ID, 상태, 위치, 공인 IP, 사설 IP, Recursion 설정 여부, Access 상태, Server 사양, 요금제 정보, Name Server 상태 등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4. Name Server 삭제
ㅇ 특정 네임 서버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네임 서버를 선택 후 '정지' 버튼을 눌러 정지한 후에 '삭제' 버튼을 통해 삭제할 수 있습니다.

5. Access 설정 수정
ㅇ Name Server > 네임 서버 List에서 특정 네임 서버 선택 > ... (숨김메뉴) > 'Access 설정' 버튼 클릭


- - On 선택 시 공인 IP가 할당되며, Off 선택 시 공인 IP가 할당되지 않습니다.
6. Recursion ACL 설정
ㅇ Name Server > 네임 서버 List에서 특정 네임 서버 선택 > ... (숨김메뉴) > 'Recursion 설정' 버튼 클릭

ㅇ 특정 대역에서 해당 네임 서버를 캐싱 네임 서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Recursion ACL 대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ecursion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No' 적용 시 기존 ACL이 모두 삭제됩니다.)
- - '+' 버튼을 통해 ACL을 추가한 후, '적용하기' 버튼을 눌러 Recursion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ACL 리스트에서 우측 '삭제' 버튼을 눌러 ACL을 제거한 후 '적용하기' 버튼을 눌러 Recursion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 - '-' 버튼을 클릭하여 맨 아래 리스트부터 차례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Hosted Zone 관리
1. Hosted Zone 생성 신청
ㅇ Hosted Zone > 'Hosted Zone' 버튼 클릭


- - 서비스 이름: 기존에 생성했던 네임 서버 중 Hosted Zone을 생성하고자 하는 네임 서버 이름을 선택합니다.
- - 도메인 이름: 등록하고자 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도메인 이름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2. Hosted Zone 삭제 신청
ㅇ Hosted Zone > Hosted Zone List에서 특정 Hosted Zone 선택 > '삭제' 버튼 클릭

Record 관리
ㅇ Hosted Zone > Hosted Zone List에서 특정 Hosted Zone 선택 > '레코드 관리' 버튼 클릭

1. Record 생성
ㅇ Record > 'Record 생성' 버튼 클릭


- - Name: 호스트 네임을 입력합니다.
- - Type: 레코드 타입을 입력합니다. A, AAAA, CNAME, MX, TXT, PTR, NS, SRV, CAA, NAPTR, DS 타입을 지원합니다.
- - TTL: Time-to-Live 값을 입력합니다.
- - Value: 레코드 타입에 따른 Value 값을 입력합니다.
- - 각 값들이 레코드 생성 규칙에 맞지 않을 시 레코드 생성이 불가합니다.
2. Record 수정
ㅇ Record > 레코드 List에서 특정 레코드 선택 > '수정' 버튼 클릭


- - Record 관리 > 1. Record 생성과 마찬가지로 레코드 생성 규칙에 맞추어 레코드를 수정합니다.
3. Record 다량 업로드
ㅇ 레코드 정보를 담고 있는 엑셀 파일을 업로드하여 한 번에 다용량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ㅇ Record > '파일 업로드' 버튼 클릭

1. '양식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엑셀 양식을 다운로드합니다.

- Record 관리 > 1.Record 생성과 마찬가지로 레코드 생성 규칙에 맞추어 다운받은 양식에 레코드 정보를 기재합니다.

2. 해당 엑셀 파일을 '업로드' 버튼을 통해 업로드합니다.

3. 입력한 레코드들에 대한 Validation 값을 확인합니다.

- - true: 레코드 추가 가능
- - false: 입력 값이 잘못되어 레코드 추가 불가능
4. 리스트 중 추가하고자 하는 레코드들을 선택하여 하단의 '변경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5. 레코드 List에서 추가된 레코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atistics
Name Server 통계 조회
ㅇ Statistics > 원하는 서버, Metric, 기간 설정 후 '조회' 버튼 클릭


- - Service Name: 서비스 이름을 선택합니다.
- - Name Server: 서비스 내 Name Server ID를 선택합니다.
- - Metric: 조회를 원하는 Metric을 선택합니다.
- - Selected List: 선택한 Metric 리스트를 나타냅니다. Metric은 원하는 대로 추가/삭제 가능합니다.
- - 조회 기간: 조회를 원하는 기간을 선택합니다. 특정 시간 대를 수동으로 지정 가능합니다.
- - Step: 통계 수집 주기를 설정합니다.
"무단배포금지: 클라우드포털(www.linux.co.kr)의 모든 강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