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m실무14편: yum 대화형 모드(shell mode) 사용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61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yum실무14편: yum 대화형 모드(shell mode) 사용하기
지금까지 우리는 리눅스 쉘상태에서 yum명령어를 이용하여 패키지관리를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워보았다.
이번에는 쉘명령어로 yum을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yum 전용명령어 상태에서 yum전용명령어를 실행하여 패키지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는 이런 yum전용상태를 “yum shell상태” 또는 “yum shell모드”라고 말한다.
어떤 이름을 사용하든 상관없지만 yum shell상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걱정할 것 없다.
“yum shell”상태에서 사용하는 yum전용명령어들은 우리가 이미 앞에서 모두 배운 것들이다.
즉 지금까지 쉘상태에서 사용했던 명령어 사용방법은 “yum 전용명령어 패키지명”과 같은 형식을 사용하였다.
이런 형식에서 yum자만 빼고 사용하면 이것이 바로 “yum shell”모드에서 사용하는 yum전용명령어가 된다.
다음은 “yum shell”모드를 실행한 예이다.
쉘프롬프트에서 “yum shell”이라고만 실행하면 된다.
그러면 아래 예와같이 “>”라는 표시를 해준다.
이것이 바로 “yum shell 프롬프트”이다.
“>”다음에 yum전용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된다.
[root@RockyLinux01 ~]# yum shell 마지막 메타자료 만료확인 0:00:12 이전인: 2023년 06월 27일 (화) 오후 03시 38분 08초. >
> help
usage: yum [options] COMMAND
주요 명령 목록:
alias 명령 별칭 나열 또는 작성 autoremove 종속성으로 설치된 불필요한 꾸러미를 모두 제거합니다 check packagedb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 check-update 사용 가능한 꾸러미 향상 확인 clean 캐쉬된 자료 제거 deplist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repoquery --deplist 사용] 꾸러미의 종속성과 이를 제공하는 꾸러미 목록 나열 distro-sync 설치된 꾸러미를 사용 가능한 최신 버전으로 동기화합니다 downgrade 꾸러미를 하향설치합니다 group 그룹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합니다 help 유용한 사용법 메시지 표시 history 연결 내역 표시 또는 사용 info 꾸러미 또는 꾸러미 그룹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 install 시스템에 꾸러미를 설치합니다 list 꾸러미 또는 꾸러미 그룹 나열 makecache 메타 자료 캐쉬를 생성합니다 mark 설치된 꾸러미를 사용자가 설치한 것으로 표시 또는 표시 해제합니다.
module 모듈과 상호 작용합니다.
provides 지정된 내용을 제공하는 꾸러미 찾기 reinstall 꾸러미 다시 설치 remove 시스템에서 꾸러미를 제거합니다 repolist 구성된 소프트웨어 리포지토리를 표시 repoquery 키워드와 일치하는 꾸러미 검색 repository-packages 지정된 저장소의 모든 꾸러미에 대해 명령을 실행합니다 중략.. --noautoremove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종속성 제거를 비활성화 --nogpgcheck gpg 서명 확인을 비활성화 (RPM 정책이 허용하는 경우) --color COLOR 색상 사용 여부 제어 --refresh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메타 데이터를 만료된 것으로 설정 -4 IPv4 주소 만 확인 -6 IPv6 주소 만 확인 --destdir DESTDIR, --downloaddir DESTDIR 꾸러미를 복사할 디렉토리를 설정하십시오 --downloadonly 꾸러미만 내려받기 --comment COMMENT 연결에 의견을 추가하십시오 --bugfix 결점(bug) 수정 관련 꾸러미 최신화에 포함 --enhancement 개선된 기능과 관련된 꾸러미를 초신화에 포함 --newpackage 새 꾸러미 관련 꾸러미 최신화에 포함 --security 보안 관련 꾸러미 최신화에 포함 --advisory ADVISORY, --advisories ADVISORY 주어진 권고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꾸러미를 최신화에 포함 --bz BUGZILLA, --bzs BUGZILLA 주어진 BZ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꾸러미를 최신화에 포함 --cve CVES, --cves CVES 주어진 CVE를 수정하는 데 필요한 꾸러미를 최신화에 포함 --sec-severity {Critical,Important,Moderate,Low}, --secseverity {Critical,Important,Moderate,Low} 심각도와 일치하는 보안 관련 꾸러미를 최신화에 포함 --forcearch ARCH 구조의 사용을 강제합니다
쉘 관련 인수:
config 설정 옵션 설정 help 도움말 인쇄 repository (or repo) 저장소 활성화,비활성화 또는 나열 resolvedep 연결 구성 분석 transaction (or ts) 연결 구성 목록,재설정 또는 실행 run 연결 구성 분석 및 실행 exit (or quit) 쉘 종료 >
|
위의 예에서는 “yum shell”상태에서 yum전용명령어인 “help”를 실행한 예이다.
이제 우리는 “>”상태에서 지금까지 배운 yum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
> quit 쉘 나가기 [root@RockyLinux01 ~]# |
그리고 위의 예와같이 “yum shell”모드에서 빠져나오려면 “quit”를 실행하면 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