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분류
[KT클라우드]JEUS FAQ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80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FAQ
Q. JEUS에서 장애 유형
- 웹서버와 JEUS 연결 Thread 서비스 장애
- JEUS와 외부 resource(DBMS 등)와 연동시 서비스 장애
- JEUS 안에서 작동하는 Application Error로 인한 서비스 장애
Q. 웹서버 - JEUS 연결 시 Thread 서비스 장애
- 웹서버(WebtoB, Apache, iplanet, iis 등 ...)와 JEUS 의 연동은 Thread 단위로 구성된다.
- Thread 관련된 설정은 JEUS의 WEBMain.xml의 "webserver-connection" 절에서 세팅할 수 있다.
- connection의 갯수가 너무 작으면 웹서버 - JEUS 단에서 bottle-neck 이 발생할 수 있으며, connection의 갯수가 너무 많으면 JEUS performance 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의 성격, 수행 시간 등을 고려해서 적당한 값을 세팅하도록 한다.
Q. JEUS 와 외부 resource(DBMS ...) 와 연동 시 서비스 장애
- JEUS의 DB 연동 방법은 datasource방식과 JEUS DB pool 연결 방식이 있다.
- JEUS에서는 각각의 연결방식을 모니터링하는 dbpooladmin, webadmin 콘솔을 제공하고 있다.
- 해당 콘솔의 정보를 통해 유실된 connection 이 유무 등을 확인한다.
Q. JEUS 안에서 작동하는 Application Error 로 인한 서비스 장애
- JEUS는 J2EE 스팩을 준수하는 WAS 로 핵심 엔진은 JAVA기술로 구현되어 있다.
- JEUS에 배치되어 서비스되는 Application 들도 JAVA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지므로, Exception의 처리 및 Error 발생의 메커니즘도 JAVA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따라야 한다.
- 일반적으로 Application 레벨의 에러는 JEUS의 시스템 로그 및 에러로그의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run time 시의 장애 등은 해당 프로세스 및 쓰레드의 dump를 떠서 확인해야 한다.
Q. Tmaxsoft 제품 테크넷
"무단배포금지: 클라우드포털(www.linux.co.kr)의 모든 강좌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는 콘텐츠입니다. 무단으로 복제하여 배포하는 행위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