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262-7 : 디렉토리 기억스택의 내용 출력시 긴 디렉토리경로명으로 출력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2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레벨262-7 : 디렉토리 기억스택의 내용 출력시 긴 디렉토리경로명으로 출력하기
앞의 예들에서 dirs로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리스트(북마크)를 출력할 때에 홈디렉토리의 표시가 “~”와 같이 출력되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으로 출력되지 않고 전체경로명으로 출력하고자 한다면 -l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즉, dirs사용시에 -l옵션을 사용하시면 전체경로명으로 출력을 하게 됩니다.
아래의 예는 전체경로명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dirs명령어로 -l옵션을 사용한 것입니다.
[root@su249 xinetd.d]# dirs -l /etc/xinetd.d /etc/mail /var/log /etc /root [root@su249 xinetd.d]# |
“dirs -l”의 결과 ~으로 출력되었던 부분이 /root로 출력되었음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l옵션과 함께 +n옵션을 함께 사용한 것입니다. 아래의 예는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저장되어있는 리스트들의 맨 앞에서부터 +4번째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체경로명(-l)으로 출력하라는 dirs명령어입니다.
[root@su249 xinetd.d]# dirs -l +4 /root [root@su249 xinetd.d]# |
결과 맨 처음부터 +4번째에 해당하는 부분은 ~(홈디렉토리)이며, 이를 전체경로로 표시(-l)하면 /root가 됩니다. 따라서 /root가 출력된 것입니다.
이번에는 -l옵션과 함께 -n옵션을 함께 사용한 것입니다. 아래의 예는 디렉토리 기억스택에 저장되어있는 리스트들의 맨 마지막에서부터 -0번째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체경로명(-l)으로 출력하라는 dirs명령어입니다.
[root@su249 xinetd.d]# dirs -l -0 /root [root@su249 xinetd.d]# |
결과 맨 마지막부터 -0번째에 해당하는 부분은 ~(홈디렉토리)이며, 이를 전체경로(-l)로 표시하면 /root가 됩니다. 따라서 /root가 출력된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