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001-1 :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는 useradd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3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레벨001-1 :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는 useradd 개론
[참고사항] |
useradd는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계정사용자를 생성할 수도 있고, 메일사용자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즉, 원하는 계정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리눅스 관리자용 명령어입니다.
즉, useradd는 관리자용 명령어이므로 일반사용자들은 사용할 수 없는 명령어입니다.
그리고 useradd의 실행으로 시스템내부적으로 어떤 작업들이 이루어지는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번 장에서 설명되는 “useradd의 실무메커니즘”에 대한 부분을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useradd명령어의 실무메커니즘을 이해하신다면 리눅스 계정생성에 대해서는 거의 완벽하게 이해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눅스에서 useradd와 adduser명령어가 어떻게 다르냐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을 드리기 위하여 아래 ls명령어의 예를 보시기 바랍니다.
[root@su249 ~]# ls -l /usr/sbin/useradd -rwxr-x--- 1 root root 78964 2008-04-0522:29 /usr/sbin/useradd [root@su249 ~]# [root@su249 ~]# ls -l /usr/sbin/adduser lrwxrwxrwx 1 root root 7 2008-11-2100:11 /usr/sbin/adduser -> useradd [root@su249 ~]# |
즉, adduser명령어는 useradd명령어로 링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실제로 adduser명령어와 useradd명령어는 동일한 명령어입니다.
즉, 유닉스나 솔라리스등에서는 useradd대신에 adduser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리눅스에서는 다른 운영체제와의 호환을 위하여 useradd와 adduser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둔 것입니다.
즉, 이번 장에서 설명하는 useradd대신 adduser를 사용하셔도 완전히 동일한 것이므로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자, 그럼 시스템관리자가 해야하는 계정생성 관련업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etc/passwd 파일에 사용자의 계정(ID 및 패스워드)생성 |
이외에도 여러 가지 작업들이 있지만, 시스템관리자는 새로운 계정사용자를 생성하였을 때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런 업무 중에 계정생성에 관련된 작업을 useradd를 이용하여 수행합니다.
명령어위치 : /usr/sbin/useradd
사용형식
useradd [-c comment][-d 홈디렉토리][-e 종료일자][-f inactive_time]
[-g 초기그룹명]
[-G 그룹명[,...]][-m [-k 초기화파일위치디렉토리] | -M]
[-p 패스워드][-s
사용쉘] [-u UID [ -o]] [-n] [-r] 계정명
useradd의 옵션들
-c : 대부분 사용자명을 입력하며, finger로 확인하면 보여주는 간단한 사용자설명
(코멘트)을
등록한다.
-d : 생성하는 계정사용자의 홈디렉토리위치지정 (예, -d /home/sspark)
-e : 생성하는 계정의 사용종료일자 지정(예, -e 2015-12-31)
-f : 생성하는 계정의 유효일자 지정(예, -f -30, 앞으로 30일동안
유효한 계정)
-g : 생성하는 계정의 로그인 그룹(the user’s initial login group,예: -g 1004)
-G : 생성하는 계정의 추가등록 계정의 그룹명
-p : 생성하는 계정의 패스워드지정
-s : 생성하는 계정의 로그인쉘(the user’s login shell)
-u : 생성하는 계정의 UID지정 (예, -u 1000)
이상과 같이 useradd명령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부터 useradd로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는 실제 예와 실무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