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일서비스의 서비스 흐름도 이해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5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메일서비스의 서비스 흐름도 이해하기
리눅스에서 메일솔루션을 구현하는 방법을 배우기 위하여 먼저 email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알아보도록하자. 메일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메일솔루션인 sendmail을 중심으로 살펴본 메일서비스 흐름도이다.
참고로 sendmail은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일서비스를 할 수 있는 메일서버(프로그램)이다.
[사용자A가 사용자B에게로 메일을 보낼때의 메일 전달경로]
위의 그림은 사용자A가 사용자B에게 메일을 보낼때의 메일전달 과정을 sendmail과 pop중심으로 살펴본 그림이다.
다음은 위의 그림을 참조하여 사용자A가 사용자B에게 메일을 보낼때에 진행되는 과정들을 풀어서 설명한 것이다.
즉 메일을 보냈을 때에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풀어서 설명한 것이다.
① 사용자A는 사용자B에게 보낼 메일내용을 자신의 PC에 있는 메일클라이언트(아웃룩등)에서 작성한다.
② 사용자A는 작성한 메일내용을 Mail Client(예, 아웃룩)를 이용하여 사용자B의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SMTP) 이때 사용자A가 사용하는 SMTP서버(메일서버A)가 Mail Client(예, 아웃룩)에 설정되어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A가 사용하는 DNS등을 통하여 메일서버A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SMTP서버가 ip address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예외이다.)
③ 사용자A가 보낸 메일을 메일서버A(메일서버의 Sendmail)가 메일을 받는다.
④ 사용자A로부터 받은 메일을 보내기 위하여 메일서버A의 Sendmail은 자기의 메일큐(예, /var/spool/mqueue)에 보낼메일을 일시 보관한다.
⑤ 메일을 받은 메일서버A의 Sendmail은 사용자 A가 보낸메일을 보내기위하여 메일 header를 분석한다.
⑥ 메일서버A의 sendmail은 메일서버A에 설정된 DNS를 통하여 받을사람(사용자B)의 메일주소를 파악한다.
⑦ 파악된 메일주소(메일서버B)로 메일을 보낸다.(SMTP)
⑧ 메일을 받은 메일서버B(메일서버B의 Sendmail)는 받은 메일을 사용자B가 메일을 가져가기전까지 메일을 보관한다. (/var/spool/mail)
⑨ 사용자B는 자기가 사용하는 Mail Client(예, 아웃룩)를 이용하여 메일서버B의 메일을 가져간다. (POP)
위의 예는 메일송수신 경로를 간단히 설명한 것이다.
다음은 메일을 주고받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를 정리한 것이다.
[메일서비스에 필요한 솔루션들]
구분
|
필요한 S/W(프로그램)
|
설 명
|
SMTP서버
|
Sendmail, qmail |
메일 Relay (MTA) |
POP서버
|
Qpopper,ipop3,imap,vpopmail |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기위한 프로토콜(MDA) |
Mail Client
|
Outlook
Express |
사용자가 사용하는 메일프로그램으로 메일클라이언트(Mail Client)라고함. (MUA)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