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PC관련 실행정보를 확인하는 rpcinfo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구돌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91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RPC관련 실행정보를 확인하는 rpcinfo 사용법
RPC(Remote Procedure Call)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RPC환경에서 운용되는 NFS등과 같은 프로세스들의 실행상태를 체크하는 명령어입니다.
거의 대부분 NFS서비스를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NFS서버에 필요한 데몬(rpc.mountd, rpc.nfsd)들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명령어위치 : /usr/sbin/rpcinfo
사용형식
rpcinfo -p [호스트]
rpcinfo [-n 포트번호] -u 호스트 프로그램 [버전]
rpcinfo [-n 포트번호] -t 호스트 프로그램 [버전]
rpcinfo -b 프로그램 버전
rpcinfo -d 프로그램 버전
아래의 예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rpcinfo -p”라고 하면 현재 NFS서버에서 구동중인 NFS관련 데몬들을 점검해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 깊게 보셔야하는 것은 nfs라는 데몬과 mountd라는 데몬 그리고 portmapper라는 데몬입니다.
[root@command root]# rpcinfo -p program vers proto port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24 1 udp 32768 status 100024 1 tcp 32768 status 391002 2 tcp 32769 sgi_fam 100011 1 udp 685 rquotad 100011 2 udp 685 rquotad 100011 1 tcp 688 rquotad 100011 2 tcp 688 rquotad 100003 2 udp 2049 nfs 100003 3 udp 2049 nfs 100021 1 udp 32770 nlockmgr 100021 3 udp 32770 nlockmgr 100021 4 udp 32770 nlockmgr 100005 1 udp 32771 mountd 100005 1 tcp 33719 mountd 100005 2 udp 32771 mountd 100005 2 tcp 33719 mountd 100005 3 udp 32771 mountd 100005 3 tcp 33719 mountd [root@command root]# |
그리고 특정 서버에서 운용중인 NFS서비스 데몬들에 대한 점검을 원하신다면 점검대상 서버의 IP주소나 호스트명 또는 도메인명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즉,“rpcinfo -p 호스트명” 또는 “rpcinfo -p IP주소”등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예는 원격지에 있는 192.168.0.100서버의 NFS서비스가 가능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rpcinfo -p 192.168.0.100”을 실행하여 RPC관련 데몬들을 점검한 것입니다.
[root@command root]# rpcinfo -p 192.168.0.100 program vers proto port 100000 2 tcp 111 portmapper 100000 2 udp 111 portmapper 100024 1 udp 32768 status 100024 1 tcp 32768 status 391002 2 tcp 32769 sgi_fam 100011 1 udp 990 rquotad 100011 2 udp 990 rquotad 100011 1 tcp 993 rquotad 100011 2 tcp 993 rquotad 100003 2 udp 2049 nfs 100003 3 udp 2049 nfs 100021 1 udp 32779 nlockmgr 100021 3 udp 32779 nlockmgr 100021 4 udp 32779 nlockmgr 100005 1 udp 32780 mountd 100005 1 tcp 32770 mountd 100005 2 udp 32780 mountd 100005 2 tcp 32770 mountd 100005 3 udp 32780 mountd 100005 3 tcp 32770 mountd [root@command root]#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