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도메인네임 확인 및 설정하는 nisdomainname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91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NIS도메인네임 확인 및 설정하는 nisdomainname 사용법
nisdomainname은 NIS/YP에서 사용되는 NIS도메인네임을 출력하거나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NIS서비스는 NIS마스트서버와 NIS슬레이브서버 그리고 NIS서버들의 정보를 이용하는 NIS클라이언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NIS환경에서 NIS도메인은 동일한 NIS데이터베이스(NIS맵)를 공유하는 호스트들의 그룹과 같은 개념입니다.
명령어위치 : /bin/nisdomainname
다시 말씀드린다면 여기서 말하는 NIS도메인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도메인과는 그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호스트명, 사용자명등의 동일한 네트웍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네트웍 영역이름을 의미합니다.
쉽게 표현한다면 동일한 네트웍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호스트들의 그룹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개념에서 본다면 윈도우NT서버나 윈도우 2000서버등에서 사용하는 “도메인”의 개념과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IS도메인이란 NIS마스트서버와 슬레이브서버에서 보유한 NIS데이터베이스정보(동일한 네트웍자원)를 함께 사용하고 공유하는 호스트(컴퓨터)들의 그룹이름입니다.
그리고 NIS도메인명은 NIS Master Server, NIS Slave Server, NIS Client모두에 설정이 되어야하며 그 이름 또한 동일해야합니다.
즉, nisdomainname명령어는 이런 NIS환경에서 동일한 NIS도메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NIS마스터서버, NIS슬레이브서버, 그리고 NIS클라이언트에서 NIS도메인을 설정하고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다음예는 NIS마스터서버에서 NIS도메인으로 superuser를 설정한 것입니다.
[root@command yp]# [root@command yp]# nisdomainname superuser [root@command yp]# |
그리고 다음은 NIS도메인을 확인한 것입니다.
그 결과 현재 서버의 NIS도메인은 superuser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root@command yp]# nisdomainname superuser [root@command yp]# |
위의 예와같이 NIS도메인을 설정하고 확인하는 방법은 NIS마스터서버와 NIS슬레이브서버, 그리고 NIS클라이언트에서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하고 확인합니다.
그리고 nisdomainname명령어는 NIS도메인네임의 확인과 설정을 하는 ypdomainname명령어와 동일한 역할을하는 명령어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