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ls명령어 개론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0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디렉토리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ls명령어 개론
ls는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의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이며 모든 리눅스 사용자들이 알고 있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라는 말씀들을 많이 하십니다.
네, 그렇습니다.
단순히 특정 디렉토리내의 파일리스트만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면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ls명령어가 단순히 특정 디렉토리내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특정파일들의 정렬도 가능하며, 큰 파일사이즈를 찾을 수 있으며 쉘프롬프트에서 표시되는 파일의 색깔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밖에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ls의 기능들 외에도 매우 편리하고 강력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필자는 이 책에서 ls의 일반적인 사용법부터 고급기능까지 모두 다룰 것이며 이 장의 내용을 모두 알고 나면 아마도 여러분들께서는 ls라는 명령어를 단순히 특정 디렉토리내의 파일리스트만을 확인하는 용도로 생각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또한 ls의 강력한 기능에 조금은 놀랄 것이라 확신합니다.
이 장에서 설명하는 ls의 사용법과 예를 모두 꼼꼼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특정 디렉토리의 파일리스트를 확인하는 명령어에는 3개가 있으며 ls, dir, vdir이 그것입니다.
명령어위치 : /bin/ls
사용형식 : ls [옵션] [디렉토리] [파일]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정보를 정확하게 읽고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파일(디렉토리)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이번 장에서 배우게 될 ls라는 명령어입니다.
우리는 ls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 3가지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시간개념
|
의 미
|
atime |
. access time을 의미함. . 파일이라면 vi등으로 열어본 시간 .디렉토리라면 cd로 접근하여 ls로 디렉토리의 내용을 확인해본 시간 |
mtime |
. modification time을 의미함. . 파일이라면 파일 내용이 변경된 시간 . 디렉토리라면 디렉토리의 내용(파일삭제, 생성 등)이 변경된 시간. . ls -l에서 출력되는 시간 |
ctime |
. creation time . 파일의 속성이 변경된 시간. . chmod나 chown등으로 파일의 속성이 변경된 시간.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