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서버 구성파일과 디렉토리들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79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네임서버 구성파일과 디렉토리들
bind의 설치를 확인해 본 바와같이 bind의 컴파일 설치방법은 굉장히 간단하다.
이제 이렇게 설치한 bind의 관리방법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먼저 설치한 bind의 디렉토리들과 파일들에 대해서 간단히 확인해보자.
다음은 bind의 설정파일인 named.conf파일로서 전통적으로 이 설정파일은 /etc/named.conf에 위치한다.
하지만 버전업되면서 다음 위치에 실제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링크를 생성해서 호환되게 설정해둔다.
[root@sulinux bind-9.6.1b1]#ls -l /etc/named.conf lrwxrwxrwx 1 root root 32 4월ù 19 2011 /etc/named.conf -> /var/named/chroot/etc/named.conf [root@sulinux bind-9.6.1b1]# |
그리고 다음은 /var/named 디렉토리의 내용들이다.
이 위치는 전통적으로 bind의 홈디렉토리이다.
이 홈디렉토리 또한 버전업이 되면서 chroot기능이 적용되어 보다시피 chroot디렉토리를 별도로 생성하여 이 디렉토리내에서 모든 설정을 하고있다.
[root@sulinux ~]#ls -l /var/named 합계 56 drwxr-x--- 6 root named 4096 2월 15 21:29 chroot drwxrwx--- 2 named named 4096 4월 19 2011 data lrwxrwxrwx 1 root named 45 2월 9 18:05 localdomain.zone -> /var/named/chroot//var/named/localdomain.zone lrwxrwxrwx 1 root named 43 2월 9 18:05 localhost.zone -> /var/named/chroot//var/named/localhost.zone lrwxrwxrwx 1 root named 44 2월 9 18:05 named.broadcast -> /var/named/chroot//var/named/named.broadcast lrwxrwxrwx 1 root named 37 2월 9 18:05 named.ca -> /var/named/chroot//var/named/named.ca lrwxrwxrwx 1 root named 44 2월 9 18:05 named.ip6.local -> /var/named/chroot//var/named/named.ip6.local lrwxrwxrwx 1 root named 40 2월 9 18:05 named.local -> /var/named/chroot//var/named/named.local -rw-r--r-- 1 root root 1276 4월 23 15:32 named.root lrwxrwxrwx 1 root named 39 2월 9 18:05 named.zero -> /var/named/chroot//var/named/named.zero drwxrwx--- 2 named named 4096 7월 9 2008 slaves [root@sulinux ~]# |
다음은 bind의 홈디렉토리로서 /var/named/chroot/var/named/디렉토리이다.
보다시피 이 디렉토리에는 zone파일들이 존재하고있다.
생성되는 모든 zone파일들이 실제 존재하게될 위치이다.
[root@sulinux ~]#ls -l /var/named/chroot/var/named/ 합계 76 drwxrwx--- 2 root named 4096 2월 16 02:01 data -rw-r--r-- 1 root named 208 4월 29 2005 localdomain.zone -rw-r--r-- 1 root named 195 4월 29 2005 localhost.zone -rw-r--r-- 1 root named 427 4월 29 2005 named.broadcast -rw-r----- 1 root named 1892 7월 9 2008 named.ca -rw-r--r-- 1 root named 424 4월 29 2005 named.ip6.local -rw-r--r-- 1 root named 426 4월 29 2005 named.local -rw-r--r-- 1 root named 427 4월 29 2005 named.zero drwxr-xr-x 2 root named 4096 3월 16 2011 slave drwxrwx--- 2 root named 4096 7월 27 2004 slaves [root@sulinux ~]# |
다음은 bind의 설정파일들이 존재하는 /var/named/chroot/etc/디렉토리이다.
이 디렉토리에는 /etc/named.conf파일이 링크되어 실제로 존재하는 주설정파일이 존재한다.
[root@sulinux ~]#ls -l /var/named/chroot/etc 합계40 -rw-r--r-- 1 root root 380 2월 9 18:25 localtime -rw-r--r-- 1 root root 1248 4월 19 2011 named.caching-nameserver.conf -rw-r----- 1 root named 1100 7월 9 2008 named.caching-nameserver.conf.orig -rw-r--r-- 1 root root 1600 4월 19 2011 named.conf -rw-r----- 1 root named 955 4월 19 2011 named.rfc1912.zones -rw-r----- 1 root root 955 4월 19 2011 named.rfc1912.zones.orig -rw-r----- 1 root named 108 3월 16 2011 rndc.key [root@sulinux ~]# |
이외에도 몇 개의 디렉토리들이 더 존재하지만 이들은 로그를 저장하는 파일, 임시로 사용되는 tmp디렉토리, pid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등이다.
살펴보면 바로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여러분들이 직접 살펴보기 바란다.
지금까지 BIND의 디렉토리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BIND의 구성파일들에 대한설명을 보도록하자. 서버관리자가 DNS네임서버를 관리한다라는 의미는 다음 파일들의 내용을 마음껏 수정/편집할 수 있다라는 의미이다.
특히 DNS네임서버를 관리하는 서버관리자라면 /etc/named.conf 파일과 /var/named/디렉토리내에 있는 zone파일들은 거의 매일 생성/수정/편집한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음은 BIND와 관련된 네임서버 파일들이다.
네임서버의 설정과 관리에 필수적인 파일들이며 이장에서 모두 설명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이 파일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가라는 것만 알아두기 바란다.
[BIND의 DNS서비스를 위한 파일들]
구 성 파 일
|
용 도 및 설 명
|
/etc/named.conf
/var/named/chroot/etc/named.conf
|
BIND의 부트파일로서 각종 옵션과 각 도메인들에 대한 zone파일정보들을 갖고 있다.
|
/usr/sbin/named
|
BIND데몬파일 |
/etc/rc.d/init.d/named
|
BIND의 시작/종료/재시작을 할 수 있는 BIND관리 스크립트 |
/usr/sbin/named-checkconf
|
named.conf파일을 검사하는 유틸리티 |
/usr/sbin/named-checkzone
|
zone파일 유효성 검사 유틸리티 |
/usr/sbin/rndc
|
원격 네임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용 유틸리티. 즉 원격지에 있는 네임서버를 reload, stop, status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 기본적으로 /etc/rndc.conf파일을 적용함. |
/etc/rndc.conf
|
rndc설정파일로서 rndckey값을 보관하고
있는 파일임. |
/usr/bin/nsupdate
|
로컬 또는 원격서버에 있는 네임서버의 zone파일을 갱신할 수 있는 유틸리티. 즉 동적 DNS갱신유틸리티라고함. |
/etc/host.conf
|
resolver의 옵션을 가지고 있는 파일, 즉 host파일을 먼저 검색할 것인지 아니면 dns에 의한 쿼리를 먼저 할것인지의 순서를 정하는 설정이 order옵션으로 설정되어있다.
|
/etc/resolv.conf
|
시스템에서 사용할 네임서버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
/var/named/디렉토리
/var/named/chroot/var/named
|
각 도메인들에 대한 실제 정보들을 보유하고 있는 zone파일들이 저장된 위치. BIND의 핵심파일이다.
|
/var/named/named.ca
|
Hints파일로서 named의 캐시초기화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
/var/named/named.local
|
IP주소를 도메인으로 변경해주는 reverse파일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파일 |
/etc/nsswitch.conf
|
Resolver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파일 |
/usr/bin/nslookup
|
대화형 네임서버의 질의 도구 |
/usr/bin/host
|
DNS lookup유틸리티 |
/usr/bin/dig
|
host와 같은 DNS lookup유틸리티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