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it명령어로 특정 파일을 지정된 용량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5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split명령어로 특정 파일을 지정된 용량별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법
이번에는 su.conf라는 파일을 가지고 split명령어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 예는 이 파일의 용량과 파일명을 ls명령어로 확인한 것입니다.
확인하신 바와 같이 이 파일의 전체 용량은 345,336 bytes입니다.
이 파일을 100kbytes씩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root@su250 su3.0]# ls -l 합계 344 -rw-r--r-- 1 root root 345336 2008-12-25 01:45 su.conf [root@su250 su3.0]# |
split명령어에서 특정 파일을 용량별로 나누려면 --bytes라는 옵션을 사용하거나 -b옵션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즉 100kbytes로 나누려면 “--bytes=100k”라는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아래의 예는 split명령어를 이용하여 su.conf파일을 100kbytes씩 나누어서 특정파일로 저장한 것입니다.
이때 생성되는 파일은 자동생성됩니다.
[root@su250 su3.0]# split --bytes=100k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ls -l 합계 696 -rw-r--r-- 1 root root 345336 2008-12-25 01:45 su.conf -rw-r--r-- 1 root root 102400 2008-12-25 01:57 xaa -rw-r--r-- 1 root root 102400 2008-12-25 01:57 xab -rw-r--r-- 1 root root 102400 2008-12-25 01:57 xac -rw-r--r-- 1 root root 38136 2008-12-25 01:57 xad [root@su250 su3.0]# |
즉, 위의 “split --bytes=100k su.conf”명령어의 결과로 생성된 세개의 파일들(xaa, xab, xac)은 모두 100k씩 나누어서 저장이 되었으며 마지막파일인 xad는 나머지 남은 용량을 저장한 것입니다.
이번에는 su.conf파일을 200k씩 나누어서 저장하는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즉 아래의 예는 su.conf파일을 200kbytes씩 나누어서 저장하기 위하여 “split --bytes=200k su.conf”라는 명령어를 실행한 것입니다.
그 결과 로 xaa, xab두개의 파일이 생성 되었습니다.
[root@su250 su3.0]# ls -l 합계 344 -rw-r--r-- 1 root root 345336 2008-12-25 01:45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split --bytes=200k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ls -l 합계 692 -rw-r--r-- 1 root root 345336 2008-12-25 01:45 su.conf -rw-r--r-- 1 root root 204800 2008-12-25 02:00 xaa -rw-r--r-- 1 root root 140536 2008-12-25 02:00 xab [root@su250 su3.0]# |
참고로 위의 xaa파일의 용량은 204800로 200kbytes이나 xab파일은 나머지 남은 용량을 저장한 것입니다.
이외에도 용량별로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 예를 보십시요.
[root@su250 su3.0]# ls -lh 합계 117M -rw-r--r-- 1 root root 116M 2008-12-25 02:05 bigfile -rw-r--r-- 1 root root 338K 2008-12-25 01:45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split --bytes=20M bigfile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ls -lh 합계 232M -rw-r--r-- 1 root root 116M 2008-12-25 02:05 bigfile -rw-r--r-- 1 root root 338K 2008-12-25 01:45 su.conf -rw-r--r-- 1 root root 20M 2008-12-25 02:05 xaa -rw-r--r-- 1 root root 20M 2008-12-25 02:05 xab -rw-r--r-- 1 root root 20M 2008-12-25 02:05 xac -rw-r--r-- 1 root root 20M 2008-12-25 02:06 xad -rw-r--r-- 1 root root 20M 2008-12-25 02:06 xae -rw-r--r-- 1 root root 16M 2008-12-25 02:06 xaf [root@su250 su3.0]# |
bigfile이라는 파일의 용량을 확인하십시요. 참고로 ls명령어에서 h옵션은 파일들의 용량을 표시해 줍니다.
bigfile의 파일용량이 116M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을 20M씩 나누는 작업을 split로 수행한 것입니다.
그리고 다시 “ls -lh”로 생성된 파일들의 용량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확인해 보신바와 같이 모두 20M씩 나누어서 저장이 되었으며 마지막 xaf파일은 남은 용량이 저장된 것입니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법도 흔히 사용합니다.
[root@su250 su3.0]#tar cvfpz - /home/papa | split -b 100m - home.tar.gz |
즉, 위의 예는 tar로 /home/papa 디렉토리를 압축한 후에 100M씩 나누어서 압축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런 류의 사용법들을 알아 두시면 시스템관리, 특히 디스크용량 관리에 매우 유익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