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파일을 나누어 저장하는 split 개론과 활용예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67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특정 파일을 나누어 저장하는 split 개론과 활용예
split는 지정된 파일을 주어진 방식대로 나누는(쪼개는, 조각내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파일을 나누는 방법으로는 용량별로 나누는 방법과 행수로 나누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특정 파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용량, 행등의) 단위별로 나눌 필요성이 있거나 특정 목적에 의해 나누어서 사용해야 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또한 split명령어는 아무런 옵션없이 그냥 사용하면 지정된 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서 저장합니다.
그리고 split명령어의 결과로 자동생성되는 파일들의 이름은 xaa, xab, xac,….등과 같은 순서대로 저장이 됩니다.
단 파일명의 개수는 기본이 3문자로 생성되지만 파일명으로 사용할 문자의 개수도 지정이 가능합니다.
명령어위치 : /usr/bin/split
사용형식 : split [OPTION] [INPUT [PREFIX]]
용량이 큰 텍스트 파일을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기 위하여 split명령어를 사용할 때에 아무런 옵션 없이 “split 파일명”과 같이 실행하시면 지정된 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서 저장하게 됩니다.
즉 split명령어는 지정된 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 저장하는 것이 기본설정 값입니다.
다음은 su.conf이라는 파일을 대상으로 split명령어를 사용한 예입니다.
먼저 ls명령어로 su.conf파일을 확인 하였습니다.
그리고 wc명령어로 su.conf파일의 전체 행수를 확인 하였습니다.
wc명령어에 -l옵션을 사용하시면 지정한 파일의 행수를 출력해 줍니다.
즉 “wc –l su.conf”이라는 아래의 명령어는 su.conf이라는 파일의 전체 행수를 출력한 것이며 그 결과로 su.conf파일의 전체 행수는 20,135행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root@su250 su3.0]# ls -l 합계 1432 -rw-r--r-- 1 root root 1458240 2008-12-25 01:41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wc -l su.conf 20135 su.conf [root@su250 su3.0]# |
그리고 아래 “split su.conf” 와 같이 split명령어에 어떤 옵션도 사용하지 않으면 지정한 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 저장합니다.
즉 아래 보시는 바와같이 “split su.conf”의 결과로 su.conf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서 자동생성되는 파일에 저장이 된 것입니다.
그 결과를 ls 명령어로 확인 하였습니다.
[root@su250 su3.0]# split su.conf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ls -l 합계 712 -rw-r--r-- 1 root root 345336 2008-12-25 01:45 su.conf -rw-r--r-- 1 root root 11341 2008-12-25 01:47 xaa -rw-r--r-- 1 root root 19270 2008-12-25 01:47 xab -rw-r--r-- 1 root root 19368 2008-12-25 01:47 xac -rw-r--r-- 1 root root 19182 2008-12-25 01:47 xad -rw-r--r-- 1 root root 19591 2008-12-25 01:47 xae -rw-r--r-- 1 root root 16236 2008-12-25 01:47 xaf -rw-r--r-- 1 root root 10846 2008-12-25 01:47 xag -rw-r--r-- 1 root root 19185 2008-12-25 01:47 xah -rw-r--r-- 1 root root 19379 2008-12-25 01:47 xai -rw-r--r-- 1 root root 19207 2008-12-25 01:47 xaj -rw-r--r-- 1 root root 19481 2008-12-25 01:47 xak -rw-r--r-- 1 root root 17385 2008-12-25 01:47 xal -rw-r--r-- 1 root root 12104 2008-12-25 01:47 xam -rw-r--r-- 1 root root 16842 2008-12-25 01:47 xan -rw-r--r-- 1 root root 19375 2008-12-25 01:47 xao -rw-r--r-- 1 root root 19245 2008-12-25 01:47 xap -rw-r--r-- 1 root root 19377 2008-12-25 01:47 xaq -rw-r--r-- 1 root root 18715 2008-12-25 01:47 xar -rw-r--r-- 1 root root 13946 2008-12-25 01:47 xas -rw-r--r-- 1 root root 13723 2008-12-25 01:47 xat -rw-r--r-- 1 root root 1538 2008-12-25 01:47 xau [root@su250 su3.0]# |
그리고 위에서 자동생성된 파일들 xaa, xab,…등의 파일들이 모두 1,000행씩 나누어서 저장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예에서는 wc명령어를 사용한 것입니다.
즉 xaa파일의 행수를 확인한 결과 1,000행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으며 또한 xab파일의 행수가 1,000행이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나머지 파일들도 모두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root@su250 su3.0]# wc -l xaa 1000 xaa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wc -l xab 1000 xab [root@su250 su3.0]# [root@su250 su3.0]# wc -l xac 1000 xac [root@su250 su3.0]# |
결론적으로 이번 예에서 우리는 split명령어는 지정된 파일을 1,000행씩 나누어서 저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