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시스템들 사이의 파일동기화 및 파일 변경여부 확인하는 rdist 사용법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17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여러 시스템들 사이의 파일동기화 및 파일 변경여부 확인하는 rdist 사용법
rdist명령어는 “remote file distribution”의 약어로서 Berkeley rsh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여러 시스템들 사이에서 파일동기화와 파일의 변경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동기화를 위한 명령어입니다.
즉, 여러 대의 시스템 사이에서 지정된 파일의 복사 및 변경여부 등을 확인한 후에 필요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면서 데이터동기화에 필요한 파일변경여부를 항상 모니터링 합니다.
그리고 rdist는 로컬서버에 있는 파일을 원격서버로 옮길 수 있습니다.
즉, 하나의 동일한 파일을 원격지 여러 대의 서버에 사본을 분산시켜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rdist명령어의 정식이름은 “원격 파일분산 클라이언트(remote file distribution client program)”입니다.
즉, rdist라는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다중호스트에 파일이 동일하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명령어위치 : /usr/bin/rdist
특히 rdist명령어는 /etc/passwd, /etc/shadow, /etc/group등의 파일들이 각각의 여러 시스템들에서 항상 동일한 설정을 유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와 같이 데이터동기화를 위한 모니터링을 하면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변경이나 존재하지 않는 파일 및 디렉토리가 있을 경우에는 자동 생성하거나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rdist가 데이터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rdist서버에는 rdist데몬파일(/usr/sbin/rdistd)이 수행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는 데몬파일의 위치를 확인한 것입니다.
[root@su250 ~]# ls -l /usr/sbin/rdistd -rwxr-xr-x 1 root root 44908 2008-02-26 17:18 /usr/sbin/rdistd [root@su250 ~]# |
그리고 rdist서버에서 rdistd라는 서버데몬을 실행하시려면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root@su250 sulinux]# rdist -Server V3 |
그리고 아래와 같이 rdist데몬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oot@su250 ~]# ps -ef | grep rdist root 2364 2051 0 23:24 pts/1 00:00:00 oldrdist -Server root 2367 2011 0 23:24 pts/0 00:00:00 grep rdist [root@su250 ~]# |
다음은 -V옵션으로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rdist의 버전을 확인하는 예입니다.
[root@su250 ~]# rdist -V Version 6.1.5 (RELEASE) - Protocol Version 6, Release 6.1, Patch level 5 [root@su250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