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하드디스크분할하기(fdisk)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65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하드디스크분할하기(fdisk)
하드 디스크 분할하기
설치 과정에서는 그래픽 환경에서 하드 디스크를 분할하지만, 설치 후에는 하드 디스크 분할을 위해 주로 fdisk를 사용한다.
간편하면서도 구체적인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fdisk로 파티션을 작업을 할 때 기존의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하면 기존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므로 주의해야 하다.
파티셔닝을 위해 fdisk를 실행하려면 어떠한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눌 것인지 지정하여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 
  | 
  | 
  | [root@linux /root]# fdisk /dev/hda  | 
  | 
  | 
  | 
  | 

 
fdisk /dev/hda를 실행하면 (파티션을 생성/삭제할 하드 디스크가 IDE1의 마스터 드라이브일 경우, SCSI와 SATA 디스크 및 SSD의 경우 /dev/sda로 기술하며 fdisk로 파티션을 분할하는 방법은 동일)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fdisk는 독자적인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명령어는 m 명령어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주요한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명 령  | 기 능  | 
a  | 부트 가능한 플래그로 변경  | 
b  | bsd 디스크 레이블을 편집  | 
c  | 도스 호환 플래그로 변경  | 
d  | 파티션 삭제  | 
l  | 알려진 파티션 형태의 목록  | 
m  | 이 메뉴를 출력  | 
n  | 새로운 파티션 추가  | 
o  | 새로운 도스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  | 
p  | 파티션 테이블을 출력  | 
q  | 변경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  | 
s  | 새로운 Sun 디스크 레이블을 생성  | 
t  | 파티션의 시스템 id를 변경  | 
u  | 표시/엔트리 단위를 변경  | 
v  | 파티션 테이블을 점검  | 
w  | 디스크에 테이블을 기록하고 빠져나감  | 
x  | 특별한 기능(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일종의 전문가 모드라고 할 수 있음. 실린더 번호, 파티션 순서, 헤드의 수, 트랙당 섹터수 등을 변경하는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음. m 명령을 내리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보여줌.  | 
다음은 p 명령어로 파티션 현황을 확인한 모습이다.

 
이외에도 리눅스 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파티션 설정 도구로 fdisk 외에 sfdisk와 cfdisk가 있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fdisk에 비해서 사용자의 편의를 조금 더 고려한 프로그램들이다.
특히 cfdisk는 텍스트 모드이지만 X 윈도우와 유사한 메뉴 환경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 친화적이다.
최근 2.2TB 이상 파티션을 지원하는 GPT(GUID Partition Table)가 사용된다.
GPT를 지원하는 parted 명령어가 고용량 디스크를 파티셔닝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 
  | 
  | 
  | 
 fdisk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리눅스마스터 1급 교재 또는 다음 사이트를 참고하도록 한다.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