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boot파티션 생성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922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boot파티션 생성
/boot 파티션 생성
가장 먼저 생성할 파티션은 /boot 파티션이다.
이 파티션에 저장될 내용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과 부트로더인 GRUB 관련 파일들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안전한 부팅을 위해 반드시 별도의 파티션으로 구성해야 할 부분이다.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만들기(C)” 버튼을 클릭한다.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버튼들이 존재한다.
∙만들기(C) :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한다.
∙편집(E) : 선택한 파티션 설정을 수정한다.
∙삭제(D) : 선택한 파티션을 삭제한다.
∙재설정(S) : 새로 설정하기 이전의 상태로 파티션을 재설정한다.
이렇게 “만들기(C)”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소 만들기” 창이 실행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다.
∙표준 파티션 : 일반 목적의 파티션을 생성한다.
∙소프트웨어 RAID 만들기 :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대용량 RAID 디스크 장치로 묶을 수 있다.
∙LVM(L) : 논리적인 디스크 볼륨 그룹(Logical Volume Manager)을 새로 만들 수 있다.
여기에서 “표준 파티션”을 선택하고 “생성(R)” 버튼을 클릭하면 “파티션 추가” 창이 실행된다.
∙마운트 지점(M) : 마운트 포인트(mount point)로서 생성되는 파티션이 연결된 디렉토리 위치를 의미한다.
∙파일시스템 유형(T) : 생성하는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종류를 선택한다.
선택 가능한 파일시스템 종류로는 ext2, ext3, ext4, physical volume, software RAID, swap, vfat 및 xfs이 있다.
이들은 모두 리눅스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형식들로서 vfat은 윈도우즈 파일 시스템과 호환되는 파일 시스템이다.
∙할당 가능한 드라이브(D) : 물리적인 하드 디스크의 장치명이 오른쪽 목록에 있고, 여기서 생성하는 파티션을 어떤 하드 디스크에 생성할 것인가를 선택한다.
∙용량(MB)(S) : 새로 생성하는 파티션에 할당할 용량을 MB 단위로 입력한다.
단, 주의할 것은 여기서 지정한 용량대로 반드시 그대로 생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 이유는 여기서 지정하는 용량단위는 MB이지만, 파티션의 할당 단위는 실린더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장 비슷한 용량으로 할당하게 되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아래쪽에 있는 것은 “추가 용량 옵션”으로서 세부 설정 항목의 설정이 가능하다.
∙고정 용량(F) : 지정한 용량만큼의 공간을 할당하도록 한다.
∙다음의 용량까지 모두 채움(MB)(U) : 지정한 공간부터 다음 할당 공간까지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할당한다.
∙가능한 최대 용량으로 채움(A) : 현재 디스크 내에서 할당 가능한, 즉 남아있는 모든 공간을 지정한 파티션 공간으로 할당한다.
이를 참조하여 /boot 파티션을 생성해 본다.
“파티션 추가” 창에서 “마운트 지점(M)”을 /boot 로 설정하고 파일시스템 유형(T)을 ext4로 설정한 다음 “할당 가능한 드라이브(D)”를 sda (/dev/sda를 말한다)로 지정한다(컴퓨터 상황에 따라서 /dev/sdb 등에 파티션 설정을 할 수도 있다.
하드 디스크 장치명과 파티션에 관련한 사항은 다음의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에서 기술하고 있으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그리고 파티션의 “용량(MB)(S)”은 커널 및 부트로더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므로 크게 설정할 필요는 없고, 50MB 정도면 충분하다(최초 설치 시에 기본 용량이 27MB 정도이다). 그렇지만 커널 업데이트, 커널 컴파일 등 여러 개의 커널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100MB 정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고, 하드 디스크의 공간이 충분하다면 200MB 정도로 잡아두면 넉넉하다.
아래의 “추가 용량 옵션”은 “고정 용량(F)”을 선택한다.
설정을 모두 마치고 난 후에는 아래의 “확인(O)” 버튼을 누르면 /boot 파티션이 생성된다.
다음은 생성된 /boot 파티션의 설정 내역이다.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할 때에는 위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성하도록 한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