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라이팅테이블 확인하기 netstat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03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라이팅테이블 확인하기 netstat
netstat
netstat는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연결과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계, 마스커레이딩 연결, 멀티캐스팅 정보 등을 보여준다.
즉, netstat 명령으로 어떤 호스트(또는 서버)들과 어떤 서비스로 연결되어 있는지와 그 연결상태는 어떠한가에 대한 정보들을 알 수 있다.
먼저 netstat 명령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용한 옵션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명령의 여러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이 옵션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옵 션 | 기 능 |
-a, --all | listen되는 소켓정보와 listen 되지 않는 소켓정보 모두 보여준다. |
-n, --numeric | 10진수의 수치정보로 결과를 출력한다. |
-r, --route | 설정된 라우팅 정보를 출력한다. |
-p, --program | 실행되고 있는 각 프로그램과 PID 정보를 출력한다. |
-i, --interface=iface |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한다. 또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다. |
-c, --continuous | netstat 결과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
-l, --listening | listen 되고 있는 소켓 정보를 출력한다. |
-s, --statistics | 각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정보를 출력한다. |
-i 옵션은 해당 호스트에 설치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제에서 현재 eth0과 lo(loop back)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이다.
lo 는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기본 주소로서 기본으로 설정되는 인터페이스이다.
|
|
|
| # netstat -i Kernel Interface table Iface MTU Met RX-OK RX-ERR RX-DRP RX-OVR TX-OK TX-ERR TX-DRP TX-OVR Flg eth0 1500 0 550639602 0 0 0 766044774 0 0 0 BMRU lo 16436 0 6824854 0 0 0 6824854 0 0 0 LRU |
|
|
|
|
-r 옵션은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하라는 것이고, -n 옵션은 도메인 주소를 질의하지 말고 IP 주소 그대로 출력하라는 옵션이다.
그래서 –rn 옵션은 route -n 을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이것은 아직 설정이 되지 않아 도메인 네임 서버에 접속이 불가능하거나 접속 시간을 아끼고 싶은 경우 사용하면 유용하다.
|
|
|
|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220.73.136.128 0.0.0.0 255.255.255.128 U 0 0 0 eth0 169.254.0.0 0.0.0.0 255.255.0.0 U 0 0 0 eth0 0.0.0.0 220.73.136.129 0.0.0.0 UG 0 0 0 eth0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