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기(free)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348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강좌 :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기(free)
free
free는 시스템에서의 물리적 메모리와 Swap 메모리의 사용 현황을 보여준다.
그리고 커널에 의해서 사용되는 공유 메모리와 버퍼들도 보여준다.
다음은 기본 용법이다.
|
|
|
| 기본 용법 : free [-b | -k | -m] [-o] [-s delay ] [-t] [-V] |
|
|
|
|
다음은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 현황이다.
Mem은 물리적 메모리를, -/+ buffers/cache가 커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Swap은 Swap 메모리의 사용현황을 보여준다.
|
|
|
|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192188 162828 29360 95808 3932 45024 -/+ buffers/cache: 113872 78316 Swap: 409648 19700 389948 |
|
|
|
|
위 내용에서 각 항목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total | 메모리의 전체 메모리 양 |
used | 사용된 메모리 양 |
free | 사용되지 않은 메모리 양 |
shared | 프로세스 공유 메모리의 양 |
buffers | 디스크 버퍼 케쉬의 현재 양 |
cashed | 디스크상에 케쉬된 메모리의 양 |
이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은 다음과 같다.
옵 션 | 기 능 |
-b | 바이트 단위로 메모리 양을 보여준다. |
-k | 킬로바이트 단위로 메모리 양을 보여준다(기본값). |
-m | 메가바이트 단위로 메모리 양을 보여준다. |
-t | 전체를 포함하여 하나의 라인으로 보여준다. |
-o | `buffer adjusted' 라인(-/+ buffers/cache)을 보이지 않도록 한다. |
-s | 이 옵션 뒤에 숫자를 적어 넣으면 적어 넣은 숫자의 초 뒤에 다시 통계를 내서 보여준다. |
-V | 버젼 정보를 보여준다. |
이외에도 SWAP 파일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swapon –s’이 있다.
‘swapon –s’ 가 SWAP 파티션 또는 파일별로 사용량을 보여 주는 것에 반하여, free는 전체 SWAP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을 보여 준다.
|
|
|
| # swapon -s Filename Type Size Used Priority /dev/hda5 partition 465844 0 -1 |
|
|
|
|
|
|
| |
| 메모리 사용 상태의 확인 free 외에도 물리적인 메모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로 vmstat, ps, top 등이 있다.
다음은 vmstat의 예이다.
|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