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2급 : emacs 사용의 기초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425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2급 : emacs 사용의 기초
emacs는 vi와는 달리 비모드형 편집기이다.
비모드형 편집기라는 것은 여러 가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 <Ctrl> 또는 <Alt>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이 어떤 사람에게는 장점으로 작용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단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어떤 편집기를 사용하는가는 전적으로 그 사람의 취향의 문제이다.
emacs로 어떤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터미널로 서버에 접속한 상태라면 텍스트 모드로 실행되지만, X 윈도우 환경이라면 emacs의 GUI 버전이 실행될 것이다.
메뉴의 아이콘을 통한 편리성이 추가되었지만, 텍스트 모드의 명령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텍스트 모드 화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이 시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
|
|
| emacs [파일명] |
|
|
|
|
예를 들어, emacs 명령만 내리면 아래 오른쪽과 같은 화면을, emacs 뒤에 file1.txt와 같은 파일명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화면 밑에서 둘째 줄에 (Fundamental Encoded-kbd)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fundamental mode임을 나타낸다.
emacs는 편집하는 파일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제공하며, 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모드를 스스로 만들어 쓸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확장성과 유연성이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나 LISP, FORTRAN 등의 소스 코드를 작성할 경우 각각에 해당하는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HTML을 위한 모드도 이미 개발되어 있다.
가장 아랫줄은 미니버퍼라고 불리우며 사용자에게 간단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여러 가지 인수들을 넘겨받는데 사용한다.
emacs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몇 가지 기호를 정의하기로 하자(이 정의는 emacs를 설명하는 이 장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앞으로 <Ctrl> 키를 C-로, <Alt> 키를 M-로 표시하겠다.
즉, <Ctrl>+<Alt>의 경우는 C-x로 표시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정의를 하는 이유는 emacs의 경우 이러한 명령이 상당히 길고 복잡한 경우도 많은데 그 명령이 입력되는 것이 화면에 그와 같은 양식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emacs에서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C-x-C-s 명령을 내린다.
그리고 emacs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C-x-C-c 명령을 내리면 된다.
C-x를 했을 때 화면 아래에 ‘C-x-'라고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