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m을 통한 시스템 업데이트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44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yum을 통한 시스템 업데이트
yum은 /etc/yum.conf 에 지정된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된 패키지들을 검사하고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콘솔용 프로그램이다(이것은 SULinux, Asianux, CentOS, Fedora 등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에서 모두 사용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X 윈도우용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특정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의존성을 검사하여 의존성이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을 함께 설치하도록 하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무척 수월하다.
게다가 cron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업데이트 확인과 설치가 가능하므로 관리자의 일을 상당부분 덜 수 있다.
설정사항에 이상이 없다면 yum을 사용할 수 있다.
yum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
|
|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 |
|
|
|
|
yum에도 여러 가지 옵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제 사용에서는 불필요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명령에는 install, update, check-update, remove, list, info 등이 있다.
①install
yum에 install이 사용되면 패키지의 설치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다수의 패키지명들을 공란으로 구분하여 나열하면 다수의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패키지명의 어느 곳이나 *를 사용하여 패키지명을 지정할 수 있다(*get, get*, g*t, *g*t 등이 모두 가능하다).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
|
|
| # yum install package_name |
|
|
|
|
②update
yum에 update가 사용되면 패키지의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update 다음에 패키지명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시스템의 모든 패키지에 대해서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패키지명을 지정하여 특정 패키지만 업데이트할 수 있고 다수의 패키지명들을 공란으로 구분하여 나열하면 다수의 패키지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
|
|
| # yum update [package_name] |
|
|
|
|
③check-update
yum에 check-update가 사용되면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업데이트된 패키지가 있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
|
|
| # yum check-update |
|
|
|
|
④remove
yum에 remove가 사용되면 특정된 패키지들의 삭제 작업이 진행된다.
물론, 의존성이 있는 관련 패키지들도 삭제된다.
|
|
|
| # yum remove [package_name] |
|
|
|
|
⑤list
옵션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 업데이트 서버에 있는 모든 패키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check-update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를 기준으로 업데이트 목록을 출력한다.
따라서 업데이트 서버에는 등록되어 있지만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목록을 포함하여 보기 위해서는 list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
|
|
| # yum list |
|
|
|
|
list 명령에는 부수의 여러 옵션들이 존재하는데, available, updates, args, installed, extras 옵션들이 존재한다.
이들 중에서 available은 인스톨 될 수 있는 서버의 모든 패키지들의 목록을, updates는 서버의 업데이트 가능한 모든 패키지들의 목록을, installed는 현재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목록을 확인한다.
|
|
|
| # yum list installed |
|
|
|
|
⑥info
업데이트 서버에 등록되어 사용가능한 패키지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출력해 준다.
|
|
|
| # yum info [ package_name | group_name ] |
|
|
|
|
아래 예제와 같이 list에서 사용하는 5가지 옵션을 info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
|
| # yum info updates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