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시스템 포맷하는 mkfs 실무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8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 파일시스템 포맷하는 mkfs 실무
mkfs는 "MaKe FileSystem"의 약어로서 지정된 파일시스템타입으로 포맷하여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생성합니다.
fdisk로 파티션생성 후에 mkfs로 파일시스템을 포맷해야만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mk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기 전에 반드시 fdisk로 파티션이 생성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하는 mkfs는 파티션작업이 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만약 fdisk의 작업내용을 알고자 하다면 이 책의 fdisk명령어편을 참조하시고, mke2fs명령어편도 꼭 함께 보시기 바랍니다.
명령어위치 : /sbin/mkfs
사용형식 : mkfs [-V][-t 파일시스템타입][파일시스템옵션] 장치이름 [블록]
[옵션설명]
-V : 자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t : 생성할 파일시스템타입(ext2, ext3, ext4등)을 지정합니다.
기본값은 ext2
[파일시스템옵션]
-c :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기 전에 배드블록(Bad Block)을 검사합니다.
-l 파일명 : 지정된 파일명으로부터 배드블록(Bad Block)목록을 읽습니다.
-v : 작업상태와 결과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장치이름 : 장치명(/dev/hda1, /dev/sdb2등과 같이)으로 지정합니다.
mkfs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들 항목들은 리눅스 파일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항목들이며 파일시스템생성(mkfs, mke2fs등)시에 모두 작성됩니다.
- 파일시스템 라벨(Filesystem label)
- 블록사이즈(Block size)
- Fragment size
- inode(테이블)생성
- 블록그룹(block group)과 블록(block)생성
- 블록그룹당 블록수(blocks per group)
- 블록그룹당 inode개수(inodes per group)
- 백업수퍼블록의 블록위치(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려면 먼저 ext4타입으로 생성할 것인지, ext2타입으로 포맷할 것인지 ext3타입으로 포맷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 후에 장치명을 확인해야 합니다.
장치명은 fdisk로 다음과 같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oot@su250 ~]# fdisk -l
Disk /dev/sda: 8589 MB, 85899345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044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isk identifier: 0x00053dbe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a1 * 1 16 128488+ 83 Linux /dev/sda2 17 277 2096482+ 82 Linux swap / Solaris /dev/sda3 278 408 1052257+ 83 Linux /dev/sda4 409 1044 5108670 5 Extended /dev/sda5 409 1044 5108638+ 83 Linux
Disk /dev/sdb: 10.7 GB, 10737418240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305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isk identifier: 0x7daaac36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sdb1 1 1305 10482381 83 Linux [root@su250 ~]# |
위의 예는 현재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디스크의 파티션 설정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MBR(Master Boot Record)의 내용을 확인해 본 것으로서 “fdisk -l”을 실행한 예입니다.
자, 그럼 예를 들어가면서 파일시스템의 생성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