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1급 : GRUB로 리눅스 시작하기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877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리눅스마스터1급 : GRUB로 리눅스 시작하기
GRUB로 리눅스 시작하기
시스템의 전원을 켜면 GRUB가 실행되면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첫 번째 운영체제나 설정 파일에 지정한 운영체제로 부팅되는데, 키보드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초기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에서 이용자는 키보드의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메뉴를 선택하고 <Enter> 키를 눌러서 원하는 운영체제로 부팅할 수 있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e, a, c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시스템 부팅 과정에서 boot.img 이전의 명령들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e 키를 누르고, 커널 아규먼트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a 키를 누르며, 명령행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c 키를 누른다.
다음은 c 키를 누른 후에 GRUB의 명령행 모드로 변경된 모습이다.
리눅스 서버가 부팅되지 않을 경우에 부팅과정을 변경하거나 편집하기 위해서 명령행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GRUB 명령행 모드에서는 cat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직접 부팅 과정의 명령을 입력하여 시스템의 부팅을 수작업으로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Tab] 키를 통한 명령어 자동 완성 기능이 지원된다.
이 모드에서 초기화면으로 전환하려면 [Esc] 키를 누른다.
GRUB 명령행 모드에서 help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이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만약 특정 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보고 싶다면, help 뒤에 해당 명령어를 기입한 후에 <Enter> 키를 누르면 된다.
이 명령행 모드에서는 수동으로 운영체제를 부팅할 수 있다.
리눅스의 경우는 명령행에 GRUB 설정 파일에 설정한 내용을 적고 부팅에 관한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이러한 명령 체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단계 : root 명령어로 부트디스크 및 부트파티션을 지정한다.
2단계 : kernel 명령어로 부팅에 사용할 커널을 지정한다.
3단계 : boot 명령어로 2단계에서 지정한 커널로 부팅한다.
여기에서 root 명령은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RAM으로 읽어들일 커널이 있는 파티션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이후에 kernel과 initrd 명령으로 읽어 들일 커널 및 관련 파일을 지정한다.
이때 커널이 있는 /boot 디렉토리가 별도의 파티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파티션을 root로 하고 kernel 명령을 내릴 때 boot를 기입할 필요 없이 바로 “/커널명”으로 기술하면 된다.
커널이 있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적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boot 명령으로 이를 부팅을 시작한다.
|
|
|
| grub> root #현재 root를 확인한다. (hd1,1): Filesystem is type ext2fs, partition type 0x83 grub> root (hd0,0) # root를 변경한다.
현재 root 파티션과 같다면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grub> kernel /boot/ <Press-TAB-KEY> # /boot 아래의 파일을 리스트한다.
grub> kernel /boot/vmlinuz ro root=/dev/hda1 # kernel 이외에 module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module에 관한 명령을 추가한다. grub> initrd /boot/initrd.img grub> boot |
|
|
|
|
이에 대해 윈도우즈 시스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한다(makeactive 명령은 하드 디스크의 주(primary) 파티션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
|
|
| grub> rootnoverify (hd0,0) grub> makeactive grub> chainloader +1 grub> boot |
|
|
|
|
만약 GRUB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부팅하고 싶을 때에는 초기화면에서 e 키를 누른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이 화면에서 b 키를 누르면 부팅을 시작하고 e 키를 누르면 선택한 명령을 편집할 수 있으며, c 키를 누르면 명령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고, o 키를 누르면 선택한 행 뒤에 새로운 행을 만들며, d 키를 누르면 선택한 행을 삭제한다.
이 모드에서 초기화면으로 전환하려면 [Esc] 키를 누른다.
GRUB 2의 경우에는 설정 내용이 이와 다르지만, 방식은 동일하다.
다음은 e 키를 눌러서 명령을 수정할 수 있는 상태로 된 화면이다.
편집을 끝낸 후에는 <Enter> 키를 누르면 다시 이전의 편집 화면으로 전환된다.
만약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해서 로그인이 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이 kernel 줄의 마지막에 single이라는 단어를 기입하고 <Enter>를 누르고 다음에 b 키를 누르면 싱글 유저 모드로 부팅한다.
|
|
|
| grub edit> kernel /boot/vmlinuz ro root=/dev/hda1 single |
|
|
|
|
관련자료
-
이전
-
다음